
10년 만에 서울시에 복귀한 뒤 16일로 취임 100일을 맞은 오세훈 서울시장의 첫 메시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4차 대유행에 대한 사과였다. 오 시장은 이날 서울시청에서 긴급 브리핑을 열어 “수도권을 중심으로 코로나19가 이렇게 확산돼 무한한 책임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서울의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570명으로 연일 500~600명대의 확진자 수를 기록하고 있다.
오 시장은 브리핑에서 “서울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져야 할 방역의 총책임자로서 진심으로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이어 문재인 대통령을 향해 “내로남불과 국민 편 가르기 말라”고 비판한 김도식 서울시 정무부시장의 발언에 대해 “이 자리를 빌려 사과 말씀 드리겠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코로나19 방역에 총력을 기울여도 모자란 위기상황에서 공직자가 2인3각 경기를 해야 할 상대 탓을 하는 것은 부적절한 언행이고 시민에 도리가 아니라고 판단해 (김 부시장을)강하게 질책한 바 있다”고 전했다.
오 시장은 중대본(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과 협의, 합의된 방역대책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중대본과 협의 그리고 합의를 전제로 방역에 임하라고 관련 부서에 지시한 바 있고 이 원칙은 예외 없이 실행돼왔다”며 “많은 전문가들이 코로나19가 완전히 종식되기보다 풍토병이나 독감처럼 잔존할 것이라고 예견하는 만큼 중대본과 함께 그 대비책을 철저하게 세워나가겠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취임 직후 일률적인 방역이 아닌 서울의 독자적인 코로나19 방역을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밝혀왔다. 오 시장은 지난 4월 서울형 상생방역안을 발표하고 중대본과 협의에 나섰지만 두달 가까이 협의가 이뤄지지 않았고 정부가 완화된 새 거리두기 개편안을 내놓으면서 서울시가 독자적으로 추진한 시범사업들은 힘이 빠졌다.
오 시장은 이에 대해 “서울형 상생방역이라고 하는데 돌이켜보면 과연 서울형 상생방역이라는 것이 실행된 적이 있는가”라고 되물었다. 그는 “서울형으로 별도로 한 것(방역 조치)은 거의 없다”며 “앞으로도 중대본과 협의·합의없이는 서울 독자적으로 별도 방역체계 마련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의 방역조치에 대한 성공, 실패 논쟁이 일고 있지만 막상 독자적인 방역조치는 없었다는 것이다.
실효성 논란이 일고 있는 자가검사키트에 대해서는 “방역은 과학인데 정치적 판단이 개입하면 왜곡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오 시장은 “방역, 백신에 성공한 나라들 미국, 영국, 독일, 스위스 등 선진국에서 자가검사키트는 상용화돼 있다”며 “코로나 검사의 보조수단으로 활용되고 있고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따라서 효과는 입증돼 있다”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