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 10시간 이상 자면 IQ 점수 10점↑…여아는 이러한 경향 없어
”학교 가기 전 10~13시간, 학교 가면 9~11시간 수면하라고 권고“
”韓어린이, 7~8세 아동의 86.1% 9시간 미만으로 자…수면시간 부족“

한국인은 어른뿐만 아니라 어린이도 적정 수면시간보다 적게 자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7~8세 어린이의 86%가 적정 수면 권고시간인 10~13시간보다 적은 9시간 미만으로 자고 있어 수면의 양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아동의 수면시간이 지능지수(IQ)와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을 받고 있다. 잠자는 시간이 적은 아이일수록 충분히 잠을 잔 아이보다 IQ가 낮다는 것이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환경보건센터 이경신 사무국장과 한양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인향 교수는 센터 내에서 운영해왔던 코호트(동일집단)에 속한 만 6세 아동 538명의 수면시간과 IQ 연관성을 분석해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지난달 30일 밝혔다.
서울의대 환경보건센터는 2008년부터 환경 노출과 어린이 신체 및 신경인지발달과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수도권 임신부 726명을 모집해 2세 간격으로 코호트를 운영해오고 있다.
그 결과, 아동의 수면시간이 길수록 언어적 IQ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했다. 특히 남아는 8시간 이하로 잠을 잤을 때보다 10시간 이상 잤을 때 IQ 점수가 10점 높았다.
다만 여아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팀은 ”수면재단(National Sleep Foundation)에서는 학교에 가기 전인 학동전기에는 10∼13시간, 학동기에는 9∼11시간을 수면하라고 권고하고 있다“며 ”우리나라에서는 7∼8세 아동의 86.1%가 9시간 미만으로 자고 있어 수면의 양이 부족한 게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홍윤철 서울대 의대 환경보건센터장은 ”아동에게 수면 시간은 신체 발달에도 영향이 있지만 인지 및 면역 체계 발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해외에서도 아동의 수면시간 및 수면의 질과 인지 기능 발달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가 다수 보고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이번 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으므로 이와 관련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행동의학 저널(Internal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에 게재됐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