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인구 4분의 1 접종 달성 시 ‘일상생활 회복’ 단계적 시행 필요”
‘방역 완화 신호 빨라’ 지적엔 “적용 시점, 보수적으로 논의 진행 중“

다음 달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와 관련된 새로운 ‘사회적 거리두기’ 체계가 적용돼 방역 조치가 일부 완화돼도 수도권에서 확진자 수가 크게 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은 국민들에 대한 백신 1차 접종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이달까지 인구 집단의 4분의 1 정도를 대상으로 백신 접종이 이뤄지면 그때부터는 ‘일상생활 회복’이라는 측면을 단계적으로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11일 정례 브리핑에서 거리두기 개편이 확진자 수에 미칠 영향과 관련해 “수도권에서 우려할 만한 수준의 확진자 수 증가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겠다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윤 반장은 “수도권의 경우, 확진자 수가 현재도 (일정 부분)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거리두기 단계로 개편이 이뤄진다고 하더라도 1단계부터 시작되는 게 아니라 조금 더 높은 수준에서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새로운 거리두기 체계에서의 단계 조정은 확진자 상황을 봐야 한다’고 전제하면서도 “7월 거리두기 개편이 되는 시점은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은 인구를 대상으로 백신 1차 접종이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 등 수도권을 제외한 거리두기 개편안을 시범 적용하고 있는 지역에서도 확산세가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전남과 경남 10개 군, 경북 16개 시·군에서 거리두기 개편안이 시범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강원에서는 14일부터 춘천·원주·강릉을 제외한 15개 시군에서 개편안 1단계를 적용할 예정이다.
윤 반장은 “지난달 24일 이후 평가한 결과를 보면 경북 지역의 경우, 개편안을 적용한 시범 지역은 인구 10만명당 0.1명 정도로 환자가 발생했고, 적용하지 않은 지역은 0.53명 정도였다”고 설명했다.
그는 “감염 재생산지수도 최근 1 미만으로 계속 유지하고 있다. 경북 전체로 봐도 점차 낮아지고 있는데 현재 (유행 상황이나 확진자 수가)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윤 반장은 새로운 거리두기가 ‘방역 완화’ 신호를 너무 빠르게 주는 게 아니냐는 지적에는 “지난 몇 달간 거리두기 개편안에 대한 논의를 계속했지만, 적용 시점은 상당히 보수적으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6월까지 인구 집단의 4분의 1 정도를 대상으로 백신 접종이 이뤄지면 그때부터는 ‘일상생활 회복’이라는 측면을 단계적으로 시행할 필요가 있다”며 “(방역 조치 완화에 대한) 여러 안전장치를 마련하면서 개편을 적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