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비대면 일상에 익숙해진 우리
함께 하는 일의 의미 잊어버려
팬데믹 시대에 혼자인 우리들
이제 ‘더불어 사는 혼자’ 회복을

코로나 팬데믹 이후, 나 또한 거의 모든 시간을 혼자 보낸 지 일 년 반이 넘어간다. 책을 추천하는 모임에 참석하기 위해 한 달에 한 번 시내로 나가는 것 외에 누군가를 만나는 일도 동네를 벗어나는 일도 극히 드물어져버렸다. 지난 학기와 마찬가지로 강의는 줌으로 대체, 영화는 스트리밍 시스템으로 보고 장도 대개는 새벽배송 등으로 주문한다. 여행을 못 가고 지인들을 만나지 못하는 아쉬움도 어느 결엔가 희미해져버린 듯하다. 계속 이렇게 살 수 있을 것 같다는 무덤덤한 마음까지 들 때도 있다. 그러니까 줄곧 혼자. 한 선배에게 이런 속내를 보이자 이런 답장을 보내왔다. 그럴 수 있겠으나, 우리는 그러지 말자. 그 문장을 보는데 ‘우리’라는 단어가 새삼 눈에 밟혔다.

다음 학기 시간표를 결정하느라 담당자와 통화하다가 조심스럽지만 2학기 수업은 대면으로 검토 중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전화를 끊고 나서 잠깐 긴장이 되는 것을 느꼈다. 대면 비대면의 안전성 문제를 제외하고, 다시 한 공간에서 누군가와 만난다는 사실, 같이 시간을 보내는 일을 잘 해낼 수 있을까, 어색하지는 않을까, 하는 걱정 때문에. 좀 더 솔직히 말한다면 더 떨어진 사회성 때문에 어쩌면 이제부터 혼자가 아니어도 되는 상태에 더럭 겁을 내는 것은 아닐까. 팬데믹 시대를 살아가는 동안 혼자 지내는 데 너무, 아니 터무니없을 만큼 나는 익숙해져 버렸을지도 모른다는 자각이 들었고 그것은 누군가와 함께 하는 시간, 함께 하는 일의 즐거움과 의미를 오랫동안 잊고 있었다는 말과 동일하게 들렸다. 종강하면서 학생들에게 시인 메리 올리버의 한 문장을 소개했다. “나는 그들 없이는 어디에도 갈 수 없고 어디에도 도달할 수 없다.” 나는 ‘그들’을 강조했고 그것이 글 쓰는 사람이 갖춰야 할 태도일지 모른다며 수업을 마쳤다. 정작 나 자신은 혼자 시간을 보내느라 간과하고 있던 삶의 필요조건을.

조경란 소설가

평소 좋아하던 시인의 신간을 읽다가 그만 이 시 때문에 생각이 더 많아져 버리고 말았다. 제목은 ‘우리의 혼자’. 중략을 사용해서 소개하는 실례를 무릅쓴다면 내용은 다음과 같다. “혼자는 바쁩니다/ 외롭거나 쓸쓸할 겨를이 없습니다/ 혼자는 오늘도 모든 걸 혼자서 다 하려고 정신이 없습니다/ 친구를 만나지 않는 것도 혼자/ 그러면서도 혼자는 자기가 혼자라는 걸 누구한테 들키고 싶어하지 않습니다/ 혼자 주변에는 온통 혼자입니다/ 혼자는 늘 혼자들에게 둘러싸여 있습니다/ 주위에 있는 혼자들도 다 알고 있지만/ 서로 다들 혼자이기 때문에 간섭하지 않습니다/.”

팬데믹 시대에 시인은 혼자인 우리들, 혹은 혼자 지내는 이들을 ‘혼자’라고 명명(命名)했다. 글쓰기에서 명명법은 대단한 효력을 지닌다. 그 이름을 부르는 순간, 특별한 존재가 되어버리니까. 시를 읽자마자 즉각 나는 ‘혼자’가 돼버린 듯했다. 시에 나오는, 혼자들이 모여 사는 공동주택 입구에 걸린 화이부동(和而不同), 존이구동(存異求同)이라는 붓글씨에 눈길도 주지 않는 그런 혼자.

‘시인의 말’에 작가는 ‘혼자의 팬데믹’이란 짧은 시를 덧붙였다. “이 낯선 처음이 마지막인지/ 아니면 이것이 진정 새로운 처음인지/ 혼자서는 깨닫기 힘든 혼자의 팬데믹이다.”

보고 싶은 영화를 적어두는 메모장을 열어보니 ‘혼자 사는 사람들’이란 국내영화가 있다. 아직 상영관에 가지 않은 이유는 그 영화만큼은 혼자 보기 싫어서이다. 아니 그 영화만큼은 누군가와 같이 보러 가고 싶었다. 그것이 이번주 나의 작은 위시 리스트이기도 했다. 그런 리스트는 또 있다. 책을 보내준 후배 소설가를 만나 저녁 먹기, ‘우리는 그러지 말자’라는 메시지를 보내준 선배와 맥주 한 잔 마시기. 집단 면역 형성 전에도, 모두의 안전에 유의하면서 그들을 만날 수 있다.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일을 도모할 수도 있을 것이다. 화이부동도 존이구동도 옆사람과 내가 있어야 가능한 일이다. 혼자인 시간은 반드시 필요하지만 이젠 “더불어 사는 혼자”에 대해 숙고해야 할 시간이 온 것도 같지 않은가. 천천히, 신중하게. ‘혼자의 넓이’라는 이 시집 맨 끝에 실린 시의 제목은 이렇다. “혼자가 연락했다.”

 

조경란 소설가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제나 '깜찍하게'
  • 정은지 '해맑은 미소'
  • 에스파 카리나 '여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