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현대산업개발은 부인했지만… ‘17명 사상’ 광주 건물 붕괴사고 재하도급 정황 포착

입력 : 2021-06-11 11:48:51 수정 : 2021-06-11 13:52:47

인쇄 메일 url 공유 - +

HDC와 계약 맺은 철거업체는 A 업체인데, 현장서 B 업체 소속 직원들이 작업한 정황 파악돼
전날 권순호 HDC 대표이사 “철거공사는 A 업체와의 계약 외에 재하도급을 준 적 없다”
지난 10일 오전 광주 동구 학동 재개발 구역 철거 건물 붕괴 사고 현장 인근 건물이 위태롭게 서 있다. 전날 오후 4시22분쯤 철거 중이던 5층짜리 건물이 무너지며 그 앞에 정차 중이던 시내버스를 덮쳤다. 이 사고로 버스에 타고 있던 9명이 숨지고 8명이 크게 다쳤다. 광주=연합뉴스

 

17명 사상자를 낸 ‘광주 건물 붕괴 참사’와 관련해 경찰이 재하도급 정황을 포착해 수사 중이라고 밝혔다.

 

11일 광주경찰청에 따르면 경찰은 전날 합동 현장감식을 진행하고 시공사 현장사무소와 철거업체 사무소 등 5개소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 자료를 분석하고 있다.

 

또한 공무원 등 14명에 대한 조사를 벌여 공사 관계자와 철거업체 관계자 등 4명을 입건, 출국금지 조치를 내렸다.

 

경찰은 건물 붕괴 원인 등에 대한 조사를 이어갈 계획인 일각에서 제기한 재하도급 등 불법행위에 대한 수사도 병행한다는 방침이다.

 

재하도급은 현장 작업자에 대한 관리 소홀 등 사각지대를 야기할 수 있어 불법이다. 하지만 ‘비용 감축’ 등 이유로 업계에선 관행처럼 행해져 왔다.

 

현대산업개발과 계약을 맺은 철거업체는 A 업체인데, 경찰은 수사 과정에서 또 다른 철거업체인 B업체 소속 4명이 현장에서 작업한 것으로 파악했다. B 업체는 장비까지 동원해 실질적으로 철거공사를 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 관계자는 “B 업체가 장비를 동원하는 등 실제로 공사를 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정몽규 HDC그룹 회장이 지난 10일 오전 광주시청 브리핑룸에서 광주 철거건물 붕괴 사고 관련 기자회견하며 고개를 숙이고 있다. 광주=연합뉴스

 

이에 경찰은 건설산업기본법상 재하도급 금지 규정 위반 여부 및 시공사와 조합, 그리고 철거업체간 계약 과정에서의 불법행위가 있었는지 수사할 예정이다.

 

다만 하루밖에 수사를 못해 두 업체간의 계약 시점 등에 대한 부족한 부분이 있아 추가 수사를 진행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사고 발생 후 재하도급 논란이 제기되자, 시공사인 현대산업개발 측은 이를 부인했었다.

 

권순호 현대산업개발 대표이사는 전날 시청에서 기자들의 질의에 “철거공사는 A 업체와의 계약 외에 재하도급을 준 적이 없다”면서 “법에 위배가 되기도 하고, 재하도급 건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민주노총 광주본부는 같은 날 성명을 내고 “현대산업개발이 ‘재하도급을 준 적이 없다’고 하지만 이는 철저한 수사를 통해 규명돼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다. 재하도급은 대부분 계약서를 안 쓰고 구두로 일하기 때문에 서류상으로는 발각되기 어렵다.

 

경찰이 현대산업개발의 재하도급 정황을 포착한 만큼 재하도급이 사고의 또 다른 원인 중 하나로 부각될 가능성이 커졌다.


지난 9일 오후 4시22분쯤 광주 동구 학동 재개발지역에서 철거 공사 진행 중 5층 건물이 무너져 내리면서 해당 지역에 정차 중이던 시내버스가 매몰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탑승객 17명 중 9명이 숨지고 운전기사를 포함한 8명이 중상을 입은 채 구조됐다. 

 

현화영 기자 hhy@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
  •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
  • 임윤아 '심쿵'
  • 김민 ‘매력적인 미소’
  • 아린 '상큼 발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