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중 화이자와 모더나를 접종한 젊은 남성층에서 예상보다 심근염 발생이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0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이스라엘 보건당국이 화이자 코로나19 백신과 심근염 발생의 상관관계 가능성을 보고한 뒤로 조사를 진행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보도했다.
심근염은 바이러스, 독(毒), 면역 이상 등 다양한 원인으로 심장 근육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는 급사에 이르게 할 수 있는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
백신부작용신고시스템(VAERS)에 따르면, 보고된 환자 중 절반 이상은 12~24세이며 16~24세 사이에서는 2차 접종을 마친 후 283건의 심근염이 발생했다.
특히 발병 평균 연령은 24세, 남성의 비중이 약 80%인 것으로 나타났다.
백신안전데이터링크(VSD)에서도 16~39세 사이에서 해당 백신의 2차 접종을 마친 경우 심근염 발생 비율이 높아진 것으로 알려졌다.
CDC는 부작용이 발생한 환자 중 일부는 입원치료를 받았으나 대부분 회복했다고 설명했다.
톰 시마버커로 CDC 부국장은 “분명 부작용 발생 비율에 문제가 있다”며 “이런 부작용의 대다수는 백신 접종 후 일주일 이내에 나타났다”고 전했다.
이에 화이자 측은 “백신 접종을 마친 비율을 고려할 때 심근염의 발병 비율은 적은 것”이라며 “mRNA 방식의 백신이 이러한 부작용을 유발한다는 결론이 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모더나도 비슷한 주장을 견지하며 보건당국의 조사에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
실제로 CDC는 아직 화이자·모더나 코로나19 백신 접종과 심근염 또는 심장막염 발생 간 인과관계가 있다고 결론 내린 상태는 아니며, 다음 주 해당 질환 발생의 상관관계를 검토하기 위해 회의를 소집했다.
경예은 온라인 뉴스 기자 bona@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