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원론적 내용”… 부인 안 해

우리 정부가 도쿄올림픽에 맞춰 문재인 대통령의 일본 방문을 타진하고 있다고 일본 민방 NNN이 한·일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9일 보도했다.
방송에 따르면 한국 측은 문 대통령과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의 정상회담을 희망하고 있으며, 정상회담이 어려울 경우에는 김부겸 국무총리를 파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에 대해 “일본 보도는 있을 수 있는 원론적 수준의 수사 정도”라면서도 부인하지는 않았다. 여권 대선주자 이낙연·정세균 전 총리는 대회조직위가 홈페이지에 경상북도 울릉군 독도를 일본령으로 표시한 문제와 관련해 대회 보이콧을 주장하기도 했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8일(현지시간) 북한의 대회 불참을 공식화하면서 북한에 할당된 출전권을 재분배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북한의 하계올림픽 불참은 1988년 서울올림픽 이후 33년 만이다. 북한 체육성은 4월 조선체육 홈페이지에서 “코로나19 위기로부터 선수들을 보호하기 위해 대회에 불참한다”고 밝혔다.
한편 스가 총리는 이날 당수토론에서 “57년 전 (1964년) 도쿄대회 때 나는 고교생이었지만 (에티오피아의) 마라톤 아베베 선수 등의 기억이 지금도 생생하다”며 “이런 것을 아이들이 봤으면 좋겠다”고 대회 강행 의사를 분명히 했다. 코로나19와 관련해선 “국민 목숨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 나의 책무”라며 “(목숨·안전을) 지킬 수 없게 되면 (대회를) 안 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원론적 발언을 했다.
도쿄=김청중 특파원, 이도형·박진영 기자 c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