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개 정소 특이 비암호화 발굴
한국연구재단은 조정희(사진)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교수 연구팀이 정소에서만 생성되는 특이한 비암호화 RNA(리보핵산)가 Y염색체를 가진 정자의 기능을 도와 출생성비 결정에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 비암호화 RNA를 ‘테쉴’이라고 명명했다.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에서 성별은 아버지로부터 X염색체를 가진 정자를 물려받는지 또는 Y염색체를 가진 정자를 물려받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각 염색체를 가진 정자의 양과 질은 출생 성비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26개의 정소 특이적 비암호화 RNA를 발굴했다. 이 가운데 사람에서도 존재하며 높은 발현량의 특성을 가진 테쉴에 특히 주목해 생쥐에게 테쉴 유전자를 제거한 동물모델을 제작했다.
연구팀은 테쉴이 결여된 수컷 생쥐가 가진 정자의 머리 형태가 비정상적이었고 이 생쥐로부터 태어난 자손 중 수컷의 비율이 줄어든 것을 확인했다.
김건호 기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베레모 퇴출](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7/128/20251027517544.jpg
)
![[박창억칼럼] 겸손이 그렇게 힘든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7/128/20251027517535.jpg
)
![[기자가만난세상] 특별하지 않는 지역 방문의 해](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7/128/20251027517520.jpg
)
![[박현모의 한국인 탈무드] 분노보다 성찰, 배척보다 포용](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7/128/20251027517465.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