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결혼 적령기 4명 중 3명 “배우자에 유방암 유전자 있어도 결혼”

관련이슈 이슈키워드

입력 : 2021-06-09 14:19:19 수정 : 2021-06-09 14:19:18

인쇄 메일 url 공유 - +

대림성모병원, 20~30대 미혼 남녀 1200명 대상 설문조사 결과
유방암 유전자 변이로 불리는 ‘브라카 유전자 변이’ 관련 조사
‘출산 의향’ 744명 중 269명 “유방암 유전자 있으면 출산 포기”
결혼식. 연합

 

20~30대 젊은 층은 결혼을 약속한 배우자에게 유방암 유전자 변이가 있다면 어떤 선택을 할까?

 

이러한 질문에 결혼·출산 적령기 남녀 4명 중 3명은 “결혼하겠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대림성모병원이 20∼30대 미혼 남녀 총 1200명(남녀 각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결혼을 약속한 상대가 유방암 유전자 변이가 있다는 사실을 결혼 전에 알게 된다면 어떻게 하겠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972명(남성 515명·여성 457명)은 “결혼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결혼하지 않겠다”를 선택한 응답자는 246명(25%)이었다. 남성은 117명(23%), 여성은 129명(28%)으로 집계됐다.

 

이는 응답자의 대부분은 배우자의 질환도 사랑으로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브라카(BRCA1/2) 유전자에서 나타나는 돌연변이는 여성에게는 유방암과 난소암, 남성에게는 전립선암 위험을 높이는 대표적인 요인이다. 

 

영화배우 앤젤리나 졸리가 브라카 유전자 변이를 발견해 유방을 절제하면서 일반인에게도 잘 알려진 유방암 유전자 변이이기도 하다.

 

또한 유방암 유전자 변이는 결혼뿐만 아니라 출산에 대한 태도도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산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744명에게 ‘본인이 유방암 유전자 변이가 있어도 자녀를 낳을 것인지’라고 질문하자 269명(36%)가 “출산을 포기하겠다”고 답했다.

 

김성원 대림성모병원 이사장은 “유방암 유전자 변이를 가지고 있다면 유방암, 난소암, 전립선암 발생 확률이 높아지는 건 사실이나 무조건 암에 걸리는 건 아니다”라며 “건강한 생활 습관, 정기 검진 등으로 위험을 낮출 수 있으므로 그릇된 선입견이나 지나치게 비관적으로 생각할 필요는 없다”고 밝혔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