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택배노조가 택배 노동자 과로사 방지를 위한 사회적 합의 결렬에 따라 9일부터 무기한 파업에 들어가겠다고 선언한 가운데, 택배업체들은 그 영향을 주시하며 대응책을 검토하고 있다.
택배업계에서는 일부 배송 차질은 있겠지만 쟁의권이 있는 조합원 규모가 크지 않고 직영 택배기사 투입 등도 가능한 만큼 전국적인 '택배 대란'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택배업계에서는 일단 파업 첫날인 9일 오전 참여율을 살피겠다는 입장이지만 전체 택배기사 중 노조 가입률이 11% 정도고 이 중에서도 일부만 파업에 나서는 만큼 전국적으로 택배 차질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최대 택배사인 CJ대한통운은 노조원 비중이 7% 정도, 한진과 롯데택배는 5% 수준이다.
앞서 택배노조가 7∼8일 진행한 택배 분류작업 거부와 '9시 출근' 단체행동의 경우 노조 조직률이 높은 우체국 택배를 중심으로 일부 배송 차질이 빚어졌다.
민간 택배사에서는 경남 창원 등 노조원 비중이 높은 일부 지역에서 배송 차질이 있었다. 그러나 택배업계는 이번 총파업 선언이 전국적으로 배송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택배업계는 택배노조가 실제 강도 높은 파업을 벌이면 직고용하는 회사 소속 택배기사나 관리직 인력을 현장 배치하는 등 대응에 나설 계획이다. CJ대한통운의 경우 직영 택배기사가 1000명 정도다.
CJ대한통운은 이미 자동분류장치인 휠소터가 설치되어 있는데다 4100명의 분류지원인력이 투입돼 있어 택배기사들이 분류를 거부하더라도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사측은 "현장에서 큰 혼란은 없으며, 앞으로의 영향도 거의 없는 수준"이라며 "고객들의 불편함이 없도록 면밀하게 살피겠다"고 말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