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말 유통기한 만료…2140만 회 분량 납품됐지만 사용은 ‘절반’
유통기한 만료 전 접종 가능성 희박해 외국에 지원하는 것도 문제

존슨앤드존슨의 계열사인 얀센이 개발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의 재고 처리를 두고 미국 정부가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일각에선 유통기한 만료를 앞둔 얀센 백신을 외국에 지원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지만, 유통기한이 지나기 전에 접종을 끝낸다는 보장이 없다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 내에서 이달 말로 유통기한을 채우는 얀센 백신 재고는 수백만 회 분량에 달한다.
이처럼 얀센 백신 재고가 급증한 이유는 지난 4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와 식품의약국(FDA)이 혈전증 발생 우려를 들어 얀센 백신 사용 중단을 권고했기 때문이다.
CDC는 열흘 만에 사용 재개를 결정했지만, 미국인들 사이에서 얀센 백신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하면서 대량으로 예약이 취소됐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유통기한 만료가 다가오는 백신은 얀센 백신뿐 아니라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도 있다. 하지만 이들은 얀센 백신에 비하면 재고량이 훨씬 적다는 게 의료 현장의 전언이다.
WSJ은 얀센 백신의 경우 지금까지 2140만 회 분량이 미국 정부에 납품됐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절반을 갓 넘기는 수준이라고 전했다.
이에 비해 화이자와 모더나의 백신은 납품한 백신의 83%가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의료기관들은 얀센 백신 접종 독려에 나섰지만, 큰 효과를 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병원에서는 얀센 백신 재고를 민간 의원이나 약국, 다른 주로 발송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현재 미국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 속도가 둔화하고 있기 때문에 재고량을 소진하는 것은 사실상 어려운 상황이다.
일각에선 유통기한 만료를 앞둔 얀센 백신을 외국에 지원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당장 외국으로 백신을 보내도 해당 국가에서 유통기한이 지나기 전에 신속하게 접종을 완료한다는 보장이 없고, 유통기한이 지난 백신을 접종하는 것은 더 큰 문제를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현실적인 문제점도 적지 않다는 설명이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