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11일부터 영국 콘월에서 개최되는 주요7개국(G7) 정상회의에서 한·일 정상회담이 성사될지 여부가 주목된다. 현재로선 쉽지 않다는 전망이 나온다. 문재인 대통령은 6일 현충일 추념사에서 한·일 협력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현충일 추념사에서 “2001년, 일본 도쿄 전철역 선로에서 국경을 넘은 인간애를 실현한 아름다운 청년 이수현의 희생은 언젠가 한·일 양국의 협력의 정신으로 부활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현충일 추념사에서 한·일 협력 메시지를 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일본과의 관계 개선에 열려있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언급으로 해석된다.
최근 한·일 관계는 평소의 냉랭한 관계에 더해 일본의 도쿄올림픽 홈페이지 독도 자국 영토 표기 등으로 더 경색되고 있는 국면이었다. 지난 5일 일본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 고위 당국자는 “(한·일 정상회담을) 개최할 이점이 없다”며 “아무런 준비도 검토도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우리 외교 당국은 한·일 간의 대화에 항상 열려있다는 입장이지만, 역시 아직까지는 한·일 정상회담과 관련 정해진 것이 없다고 설명하고 있다. 양기호 성공회대 일본학과 교수는 “스가 요시히데 총리 입장에서 한·일정상회담은 9월 총선에 득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지난달 영국 런던에서 열린 G7 외교·개발장관회의에서는 정의용 외교부 장관과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의 회동이 성사됐지만, 외교장관회의와 달리 성과를 담보할 필요가 있는 정상회담은 성사되기가 쉽지 않다는 관측이 제기되기도 한다.
다만 미국은 한·미·일 정상회의를 적극 추진하면서 한·일 정상회담을 측면 지원할 가능성이 있다. 조 바이든 행정부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대중 견제를 위해 한·미·일 3국 공조에 공을 들이고 있다.
홍주형 기자 jh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