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세상이 나를 부리거나 재단할 수 없다”… 18세기 개인의 발견

입력 : 2021-06-01 02:00:00 수정 : 2021-05-31 20:24:38

인쇄 메일 url 공유 - +

글항아리, 평전 시리즈 4권 출간

조선시대 대부분의 선비들 생각과 달리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개인에 천착했던
조귀명·신유한·이용휴·유한준 생애 정리
주류사회 비판… 나만의 실력 ‘裸力’ 주목

“요컨대 천고(千古·아주 먼 옛날)의 학술과 문장이 나에게 재단되어야지 그것들이 나를 재단할 수는 없으며 나에게 부려져야지 그것들이 나를 부리게 할 수는 없는 노릇입니다. … 나는 나의 말을 말하면 그뿐이지, 남이 나에게 어찌하겠습니까.”

조귀명(1692~1737)의 이런 선언은 옛날의 학문과 문장을 감히 왈가왈부할 수 없는 금과옥조이자 불문율로 여겼던 당대의 선비들에겐 낯설고, 불경스럽기까지 했을 것이다. 조귀명에게도 옛 학문과 문장은 큰 권위를 가진 공부의 대상이기는 했다. 하지만 삶의 구체적 국면에서 스스로 깨달아 얻은 것을 기준으로 삼았고, 그 중심에는 ‘나’가 있었다.

출판사 글항아리가 ‘18세기 개인의 발견’ 시리즈로 4권의 평전을 한꺼번에 내놨다. 조귀명을 비롯해 신유한(1681~1752), 이용휴(1708~1782), 유한준(1732∼1811)의 생애를 정리한 책들이다. 이들은 벼슬을 얻어 세상을 경영하는 걸 인생의 목표로 삼으며 ‘공동체’를 화두로 삼았던 조선 대부분의 선비들과는 달리 나, 혹은 개인에 천착했다. “동아시아에서 개인에 대한 사유는 전환기마다 출현해 왔고”, 조선에서는 근대적인 사유와 사회 변화의 싹을 틔웠던 18세기에 그러했는데 네 사람의 삶과 태도에서 그것이 도드라진다. 주변 사람, 더 넓게는 세상의 평가에 끊임없이 흔들릴 수밖에 없는 현대인에게도 지침이 될 만한 것이다.

이들이 대체로 주류사회에서 멀찍이 떨어진 삶을 살 수밖에 없었던 점을 고려하면 개인에 대한 강조가 어디에서 비롯된 것인지를 짐작할 수 있다. 조귀명은 평생 병을 달고 살았고, 이용휴는 가문이 당파싸움의 희생이 되면서 출세의 길이 막혔으며, 신유한은 신분적, 계급적 한계가 분명한 서얼이었다. “당대의 지배적 가치관에 동의하지 못하거나 이질감, 소외감을 느끼며 공동체와 거리를 둘 수밖에 없었으나”, 역설적으로 “그러한 경험을 통해 사회구조를 인식하고, 세계 내에서 자신의 존재를 탐구하는 ‘개인’을 자기 안에서 발견하게” 된다.

유한준은 유교의 이념 중 하나인 도(道)에 대해 ‘각도기도론’을 주장했다.

개인에 주목한 이들의 철학을 잘 보여주는 것이 유한준의 ‘각도기도론’(各道其道論)이다. 각자 자신이 정한 도에 따른다는 것으로 도의 정점은 일괄적이지 않고 각자의 원칙과 방법을 하나의 도로 삼아 자신의 이상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런 원칙을 추구했던 유한준은 남들이 써주기 마련인 묘지명(죽은 이의 덕과 공로를 정리한 글)을 스스로 정리했다. ‘천하제일의 문장’을 추구했던 신유한은 성리학적 관점에 따라 도를 보완해 주는 의미로서만의 문학이 아니라 문학 그 자체로 독립된 가치를 가진다고 주장했다. 이는 “문장이야말로 개인이 온전히 성취할 수 있는 유일하는 것”이라는 정의를 도출하는 바탕이 됐다.

주류의 관점, 태도와는 거리가 있는 이런 주장들이 그저 특이한 이론 정도가 아니라 당대에도 나름의 힘을 발휘하고, 후대에까지 이어진 것은 이들이 자신의 힘과 실력을 스스로를 증명하는 ‘나력’(裸力)을 가졌었기 때문이다. 나력은 권력이나 지위와는 상관없는 나만의 실력을 의미한다.

신유한이 조선통신사 일원으로 파견됐던 경험을 바탕으로 쓴 ‘해유록’은 후대에 일본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로 활용됐다. 글항아리 제공

정약용이 재야의 ‘문형’(文衡·저울로 물건을 다는 것과 같이 글을 평가하는 자리)이라고 평가했던 이용휴는 끊임없이 책을 찾아다닌 장서가이자 독서광으로 자기만의 시선으로 삶과 죽음, 세계를 표현하는 글들을 쏟아냈다. 신유한은 평균 합력 연령이 34세였던 진사시에서 25세에 합격했고, 이즈음 자신의 이름을 세상에 알린 시 ‘촉석루에 제하다’를 내놓았다. 일본에 파견된 조선통신사의 일원으로 참가한 경험을 바탕으로 쓴 ‘해유록’은 박지원의 ‘열하일기’와 함께 ‘기행문의 쌍벽’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타락한 주류를 비판하는 동시에 당대 조선 사회에서 불가피하게 소외된 삶을 살 수밖에 없었던 이들에 대한 각별한 애정을 보인 것도 눈에 띈다. 유한준은 “세상의 소위 사대부가에 주색잡기에 빠진 이들이 많다”, “돈을 산처럼 쌓아놓고 호의호식하며 자라났지만 배우지 못해 무식하기까지 하니 괴장하고 망측하다”고 신랄하게 비판했다. 그러나 중인, 서얼층과는 깊고, 넓게 교류했다. 이런 사귐의 대표적인 대상이 중인으로 서화 수장가로 이름이 높았던 김광국이다. 김광국은 자신의 서화 컬렉션 ‘석농화원’의 발문을 유한준에게 부탁했는데, “그림을 알면 진정 사랑하게 되고, 사랑하면 진정 보고 싶고, 보면 그것을 모으게 되면 이는 모으기만 하는 것이 아니다”라는 명문을 낳는 계기가 됐다.

 

강구열 기자 river910@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샤오팅 '완벽한 미모'
  • 샤오팅 '완벽한 미모'
  • 이성경 '심쿵'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