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5~6월 AZ·화이자 1420만회분 도입 밝혔지만… 불안감 여전

관련이슈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입력 : 2021-05-03 23:00:00 수정 : 2021-05-03 22:08:05

인쇄 메일 url 공유 - +

당국, 2분기 접종 계획 발표

文 “5월도 화이자 백신 안정적 공급
AZ 계획보다 많은 물량 들어올 것”

위탁의료기관 1만3000여개 가동
한달 남짓 기간 996만여명 접종

文 “내년엔 국산 백신 쓰도록 총력” ‘
韓 백신 글로벌 허브’ 구체화도 주문
문재인 대통령이 3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제2차 코로나19 대응 특별방역 점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상반기 1300만명 접종 달성을 위해서는 5월 말∼6월 초 1000만명에 가까운 인원을 집중 접종해야 한다. 원활한 백신 수급과 1, 2차 접종 일정, 위탁의료기관 운영이 필수다. 백신 접종과 함께 백신 주권 확보의 중요성도 강조되고 있다.

3일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상반기 총 1832만회분의 코로나19 백신이 들어온다. 412만회분은 이미 공급됐고, 5∼6월에 1832만회분이 들어온다. 화이자 500만명분은 주별로 일정 물량이 들어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723만회분은 5월14일부터 6월 초 사이에 대량 공급된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특별방역점검회의에서 백신 수급을 불안해할 필요가 없다고 강조하는 등 최근 불거진 국민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애썼다. 문 대통령은 “우리나라 인구 두 배 분량의 백신을 이미 확보했고 4월 말까지 300만명 접종 목표를 10% 이상 초과 달성하는 등 접종도 속도를 내고 있다”며 “5월에도 화이자 백신은 주 단위로 국내에 안정적으로 공급될 것이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당초 계획보다 더 많은 물량이 앞당겨 들어온다”고 말했다.

정부는 백신 도입 일정에 따라 오는 27일부터 65∼74세를 시작으로, 60∼64세, 유치원, 어린이집, 초등1·2학년 교사 등의 접종을 상반기에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이들 인원은 약 996만5000명이다. 한 달이 조금 넘는 기간 동안 모두 접종해야 한다.

전체 백신 물량은 접종 대상자보다 많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화이자 백신 접종 대상자는 436만8000명, 확보물량은 741만4000명이다. 3주간의 2차 접종 기간을 고려하면 물량에 오차가 생길 수 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도 2차 접종분을 고려해 차질없이 물량을 배분해야 한다.

1, 2차 접종 일정의 공개도 중요하다. 정부가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아 불안을 키웠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다수는 1, 2차 접종이 동시에 진행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으나, 화이자 1차 접종 신규 예약이 중단되고 나서야 실제는 1차 접종 집중 시기, 2차 접종 집중 시기가 반복될 것이라고 밝혔다. 정은경 질병청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사전에 상세하게 안내하지 못한 점이 송구하다”고 말했다.

정부는 현재 257개인 전국 예방접종센터를 5월 중 277개로 늘리고, 5월 말 65세 이상 접종 시작에 맞춰 1만3000여개 위탁의료기관을 가동해 동시에 접종한다는 계획이다. 온라인 예약이 어려운 어르신을 위해 콜센터를 통한 전화 예약을 운영하고,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돕기로 했다. 또 스마트폰 앱을 개발해 잔여 백신이 발생한 경우 사전에 동의한 희망자가 알림을 통해 접종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마련하기로 했다.

3일 오전 서울 시내의 한 백신접종센터를 찾은 시민들이 예진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백신 글로벌 허브’ 구상을 구체화하고, 전폭적인 기업 지원을 아끼지 말라고 정부 부처에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한국이 백신 생산의 최적지로서 글로벌 허브 국가가 된다면 국내 공급은 물론 아시아 등 전 세계 백신 공급지로서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그 목표를 위해 민·관이 적극 협력해 행정적·외교적 지원을 다해달라”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1차 때에 참석하지 않았던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안도걸 기획재정부 제2차관, 최종문 외교부 제2차관이 참석했다. 문 대통령은 “백신 확보를 위한 전 세계적인 무한경쟁 속에서, 백신 주권 확보는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라며 “개발비용 부담이 매우 크기 때문에 성공 가능성이 높은 국산 제품들에 과감하게 지원하는 등 내년에는 우리 기업이 개발한 국산 백신을 사용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해달라”고 지시했다.

정부는 국산 백신 조기 확보를 위해 하반기 임상시험 3상 진입을 목표로 하는 제약사에 대해 ‘비교 임상 방식’ 도입을 지원키로 했다.

 

이진경·이도형 기자 lji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
  • 임윤아 '심쿵'
  • 김민 ‘매력적인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