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11월 집단면역 달성을 목표로 백신 접종을 추진하는 가운데, ‘집단면역’ 도달은 어려울 것이라는 전문가 의견이 나왔다.
오명돈 국립중앙의료원(NMC)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장(서울대 감염내과 교수)은 3일 오전 서울 중구 코로나19 중앙 예방접종센터에서 열린 국립중앙의료원 기자간담회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는 토착화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오 위원장은 “정부가 목표로 하는 ‘11월 집단면역’을 달성하면 국민 생활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구체적인 설명은 없었던 것 같다”고 말해다. 이어 “정부가 말하는 집단면역은 예방접종률이 70%에 달하면 달성되는데 국민들은 집단면역에 도달하면 코로나가 사라지고 마스크 벗고, 세계여행도 자유롭게 다닐 수 있게 된다고 믿으며 기다릴 것 같다”면서 “70% 접종률에 도달한다고 해서 바이러스가 사라지고 거리두기를 종료하는 일은 저절로 따라오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오 위원장은 “인구의 70%가 백신 접종을 완료하면 집단면역에 도달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며 “타인에 전파하는 2차 감염을 예방하는 95% 이상의 백신도 아직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 효과가 95%라는 건 발병을 예방하는 효과이지 전파를 예방하는 효과가 아니다”라며 코로나19 백신의 한계를 지적했다. 코로나19 백신이 2차 감염을 차단하는 효과가 발병 예방 효과보다 크게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오 위원장은 집단면역에 도달하더라도 고위험군은 여전히 조심해야 하고, 감염 또는 백신 접종으로 생긴 면역력 지속 기간도 뚜렷하게 확인되지 않았다고도 했다. 아울러 변이 바이러스 출현, 백신을 맞았는데도 감염되는 환자 등을 고려할 때 코로나19 종식이나 집단면역 달성은 어렵다고 내다봤다.

오 위원장은 “결국 독감처럼 백신을 맞으며 코로나19와 함께 살아야 한다”며 “국가의 백신접종 전략은 바이러스 근절에서 피해 최소화로, 중증화 위험도가 높은 고령층과 고위험군을 보호하는 데 집중하는 식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독감 백심을 모두 맞지 않듯, 코로나19 고위험군에만 접종하더라도 중환자 및 사망자 발생을 막는 소기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한편 정부는 11월 집단면역 달성을 위해 1차 목표로 세운 ‘4월 300만명 접종’을 달성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코로나19 대응 2차 방역 점검회의를 열고 백신 접종 추진 계획 등을 점검한다. 집단면역 2차 목표인 ‘상반기 1200만명 접종 플러스 알파(+α)’ 달성을 위한 방안이 집중 논의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은나리 기자 jenr38@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