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일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한일 관계 회복은 차기 정부에서야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산케이 신문의 지난 2일자 보도에 따르면 김 전 위원장은 역사 문제를 둘러싼 한일 간 협의가 정체 상태인 것과 관련, “문제 해결은 차기 정권에서 하는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김 전 위원장은 또 “양국 모두 자국의 국민을 설득할 수 있는 지도자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신문은 김 전 위원장이 현재 문재인 정부의 임기가 1년 남은 상황에서 문제 해결 진전이 어렵다는 견해를 보였다고 분석했다.
내년 3월 한국 대선에 대해 김 전 위원장은 “(올해) 6월, 7월 정도까지 선거전의 윤곽이 확실해진다. 현재 내가 이야기할 것은 없다”며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후보 중) 가장 선두에 있으나 본인이 태도를 명확하지 않았다. 상황을 봐야 한다”고 말했다.
여야 대선 후보가 김 전 위원장에게 면담을 잇달아 요청하고 있다는 보도에 대해서는 “정말로 훌륭한 후보가 나와서 대통령이 되겠다고 한다면 모든 것을 내던져 도울지도 모르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참모역은) 절대로 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정권 교체 후 “‘(앞으로) 20년, 집권을 유지한다’ 등 오만한 발언이 눈에 띄었다”고 비판한 김 전 위원장은 여당의 4·7 재보궐선거 패배 원인으로 “문재인 정권이 시민에게 있어 불쾌한 정책을 거듭했다”고 분석했다.
한편 산케이 신문은 김 전 위원장에 대해 한국에서 ‘킹메이커’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여야를 넘어 주요 선거 시 당의 요직을 맡아 문 대통령, 박근혜 전 대통령의 정권 교체에 기여했다고 소개했다.
나진희 기자 naji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