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가 총리, 취재진 질문에 묵묵부답
정치적 원인 작용 여부는 의견 분분

일본 정부는 6일 북한의 도쿄올림픽 불참 결정이 알려지자 당혹해하면서 파장을 우려하는 분위기다.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는 이날 오전 관저에서 북한의 도쿄올림픽 불참에 대한 취재진 질문에 묵묵부답으로 응하지 않았다고 산케이신문이 전했다.
주무부처 장관인 마루카와 다마요(丸川珠代) 올림픽 담당상은 오전 각료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북한의 불참 결정에 대해 “보도를 봤는데 상세한 내용은 확인 중”이라며 “무슨 사정인지 몰라 뭐라고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말했다.
하시모토 세이코(橋本聖子) 도쿄올림픽·패럴림픽 대회조직위원장은 “북한의 불참은 사전에 알지 못했고 보도를 통해 알았다”며 “불참 결정을 했다는 이야기가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일본올림픽위원회(JOC)에서도 들어오지 않았다. 현 단계에서는 이 이상의 정보가 없기 때문에 지금부터 상세한 것을 확인하겠다”고 말했다.
북한의 불참 결정에 대회조직위원회에서 각국 국가올림픽위원회(NOC)와 조율을 담당해 온 관계자는 “어떤 것도 들은 것이 없다. 아닌 밤중에 홍두깨”라며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고 교도통신이 전했다.
교도통신은 북한이 불참 이유로 코로나19로부터의 선수 보호를 제시해 다른 나라로 파급을 포함해 앞으로 영향이 우려된다고 진단했다.

북한의 이번 결정으로 코로나19 사태로 전망이 어두운 도쿄올림픽 흥행에 악재가 겹치게 된 셈이다. IOC는 그동안 올림픽에서 국제적 관심도가 높아질 수 있는 남북 공동선수단이나 공동입장 카드를 선호해왔는데 무산된 것이다.
북한의 도쿄올림픽 불참에 최근 동북아 정세와 관련한 정치적 원인이 작용했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스가 총리가 16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북한 정세를 협의한다는 점을 거론하면서 “이 시점에서 불참을 표명한 의도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정치적으로 흔들려는 것보다는 코로나19 상황이 정말 걱정스러운 것 아니냐”고 말했다고 마이니치신문이 전했다.
북한의 도쿄올림픽 불참 결정으로 북·일 관계 개선의 돌파구 마련도 쉽지 않을 전망이다. 스가 총리는 그동안 납북자 문제 해결을 위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무조건 회담 의사를 밝혀왔다. 교도통신은 이와 관련해 스가 총리가 도쿄올림픽을 기회로 대화 채널이 단절된 북한 측과 접촉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었지만 북한의 불참 선언으로 상황이 어렵게 됐다고 분석했다.
북한은 1964년 도쿄올림픽 때에는 IOC가 1963년 인도네시아가 개최한 비공인 육상대회에 참가했던 북한 육상선수에 대한 제재를 해제하지 않자 대회 개막 직전 선수단 전체를 철수시켰다.
도쿄=김청중 특파원 c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