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대북지원 활동 거부 우려
VOA “美, 인권침해 사례 축적”

북한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산하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패널의 보고서에 담긴 어린이 영양실태 등과 관련된 내용이 날조됐다며 엄정히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북한 내각 보건성 산하 의학연구원 어린이영양관리연구소 소장은 6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담화에서 “유엔과 비정부단체의 간판을 가지고 진행되는 ‘인도주의협조’ 사업이 우리에게 과연 도움이 되는가를 엄정히 검토하며 적대세력들과 한짝이 되어 돌아치는 기구와 단체들에 단호한 대응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담화는 “유엔의 어느 한 전문가그룹이 발표한 ‘보고서’에 코로나19 유입을 막기 위한 우리의 국가적인 비상방역조치로 하여 수많은 영양실조 어린이들이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황당한 날조자료가 버젓이 언급되어 있다고 한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이어 “우리 어린이들의 건강과 미래는 우리 국가가 전적으로 책임진다”고 밝혔다.
담화에서 북한의 대응 조치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앞으로 유엔과 국제사회 인도주의단체의 방북과 대북지원 활동을 거부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지난 3일 발표된 대북제재위 전문가패널의 11개 구호단체 대상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단체들은 코로나19에 따른 국경 봉쇄와 국내여행 금지로 대부분의 지원 물량이 목표 지점에 도달하지 못해 왔다고 답했다. 한 구호단체는 “코로나19 제한으로 아동과 임신부, 수유부 약 44만명이 미량영양제를 받지 못하고, 심각한 영양실조 아동 9만5000명에게 필요한 치료가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담화에 대해 “그동안 유엔과 유엔의 여러 구호기구는 북한 내 어린이 등 도움이 필요한 계층의 인도적 상황을 개선하는 데 기여해왔다”며 “이런 인도주의 활동이 목적에 맞게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여건이 보장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미국의소리(VOA) 방송은 이날 미 국무부가 북한 내 인권 침해 사례를 축적해 정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전했다. VOA에 따르면 국무부 관계자는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인권 유린과 침해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고 보존하는 한편 북한의 인권 존중을 촉진하기 위해 국제사회와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원재연 선임기자, 워싱턴=정재영 특파원 march27@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