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부가 제품 개발‧R&D 투자 세제지원 등으로 경쟁력 높여야”

최근 5년 동안 국내 상장 헬스케어 기업들이 빠른 성장세를 보였지만, 규모나 수익성이 저조하고 미국과 영국, 일본 등 세계 주요국과 비교해 영세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에 따라 기업들이 고부가가치 제품을 개발하는 등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정부는 기업의 연구개발(R&D) 투자에 대한 세제지원을 확대해 글로벌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7일 ‘보건의 날’을 맞아 한국과 미국, 중국, 일본 헬스케어 기업의 2014~2019년 동안의 경영 성과를 분석한 ‘K 헬스케어 기업 경영성과 글로벌 비교 보고서를 6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 기업에는 의료기기·서비스, 제약, 바이오테크놀로지, 생명과학 기업들이 포함됐다.
전경련에 따르면 기업 1곳당 평균 매출액 증가율은 중국(74.2%), 한국(48.1%), 미국(35.1%), 일본(2.5%)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 헬스케어 기업은 총매출액이 같은 기간 70.1% 증가했고, 매출액이 1조 원을 넘어서는 기업도 2014년 2곳에서 2019년 10곳으로 4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 중국은 29곳에서 51곳으로, 일본은 34곳에서 41곳으로, 미국은 60곳에서 70곳으로 늘었다.
반면 영업이익과 순이익 증가율은 한국이 가장 낮았다.
최근 5년간 한국 헬스케어 기업들의 평균 영업이익 증가율은 4.2%를 나타냈다. 이는 중국(56.5%), 일본(29.0%), 미국(17.0%)과 비교하면 크게 뒤떨어지는 수치다. 특히 일본은 한국보다 매출액 증가율이 낮았지만, 영업이익 증가율이 7배나 높았다.
이는 한국 제품과 서비스가 저부가가치에 머물러 있다는 뜻이라고 전경련은 설명했다.
헬스케어 기업 1곳당 평균 영업이익률도 한국이 가장 낮았다.
국가별로 2019년 평균 영업이익률을 보면 일본(9.5%), 중국(9.3%), 미국(8.8%), 한국(5.0%)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 1곳당 순이익 증가율도 일본이 56.8%로 가장 높았고, 중국과 한국은 17.7%에 그쳤다.
다만 최근 5년간 기업 1곳당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R&D) 투자 비중 증가율은 한국이 4개국 중에서 가장 높았다.
한국은 2014년 5.1%에서 2019년 7.1%로 2.0%포인트(p) 증가했지만, 중국(0.8%p), 일본(0.2%p)은 소폭 증가에 그쳤다. 미국은 오히려 0.5%p 감소했다.
이와 관련해 전경련은 정부가 국내 헬스케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R&D 투자에 대한 세제지원 확대 등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제언했다.
전경련은 지난해 셀트리온그룹이 셀트리온, 셀트리온헬스케어, 셀트리온제약 3사의 합병 계획을 발표한 것도 경쟁력 강화 노력의 일환이라고 해석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국내 헬스케어 대표 기업들이 최근 5년간 빠른 성장세를 보였고 정부도 주력산업으로 바이오헬스 산업을 적극 육성하면서 외형을 키웠다지만 글로벌 기준에서는 한참 뒤지는 수준“이라며 ”기업들은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등 수익성 제고를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