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은혜 등 여성 총리 카드도 거론
‘역대 최장수 경제부총리’ 오른 洪
추경 갈등… 丁과 동반사퇴 가능성
차기 수장엔 은성수·구윤철 물망
시한부 유임 변창흠 교체 확실시
‘장수장관’ 성윤모·이재갑 포함될 듯

정세균 국무총리가 4·7 재보궐 선거 이후 사의 표명을 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4월 개각이 확실시되는 분위기다. 문재인 대통령 입장에서도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들의 땅 투기 의혹 여파와 재보선 직후 어수선한 정국 상황을 다잡기 위한 쇄신 작업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따라서 국정 분위기를 일신하고 국정 장악력을 다잡는 차원에서 총리를 비롯한 상당폭의 개각을 단행할 가능성이 높다.
정 총리 후임으로는 일단 비(非)호남 인사에 무게가 실린다. 현정부 이낙연 전 총리와 정 총리 모두 호남 출신인 데다, 대선을 얼마 남겨놓지 않은 시점인 만큼 지역 안배를 통한 정치적 고려가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우선 대구 출신 김부겸 전 행정안전부 장관이 물망에 오르고 있다. 동서 지역 화합 차원의 상징적인 인사라는 점에서 김 전 장관은 현 정부 들어 계속 총리 후보로 거론됐다. 또 김대중(DJ) 정부에서 청와대 복지노동수석과 보건복지부 장관을 지낸 이태복 전 장관도 물망에 올랐다. 충남 보령 출신인 이 전 장관은 전두환 정권 시절 대표적 공안 조작 사건인 ‘학림사건'으로 7년 4개월을 복역한 민주화운동의 맏형 격이다. 이 전 장관의 부상은 최근 야권 대선주자로 굳어지고 있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충청권 인사라는 점에서 지역 견제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여성 총리 가능성도 여전히 제기되고 있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거론되는 가운데, 김영란 전 대법원 양형위원회 위원장도 이름이 오르내린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교체 여부가 큰 관심이다. 청와대 안팎에서는 홍 부총리가 ‘나라 곳간 지킴이’를 자처하며 전 국민 재난지원금 지급이나 추가경정예산 문제 등으로 여당과 번번이 대립각을 세워왔다는 점에서 정 총리와 함께 교체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홍 부총리도 이미 사의를 밝힌 바 있다. 지난 1일자로 역대 최장수 경제부총리가 된 만큼 ‘할 만큼 한 것 아니냐’는 시선도 있다.
만약 홍 부총리가 자리를 내놓으면 차기 경제부총리에 오를 후보로는 구윤철 국무조정실장과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꼽힌다. 구 실장은 정통 예산통이고, 은 위원장은 금융을 주축으로 하는 경제정책통으로 분류된다. 구 실장은 노무현정부 때 청와대 인사제도비서관과 국정상황실장을 역임한 바 있어 현 정권의 철학을 잘 이해하는 관료로 꼽힌다. 은 위원장은 전북 군산 출신으로 호남권 여당 의원들의 광범위한 지지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형욱 전 국무조정실장과 고형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대사, 정은보 한·미 방위비 분담금 협상대사도 후보로 거론된다.
다음 달 7일을 끝으로 3년 임기를 마무리하는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의 후임도 관심이다. 정은보 협상대사, 김용범 전 기재부 1차관, 김종호 청와대 전 민정수석 등이 꼽히고 있다. 다만 문재인정부 들어 관료가 금감원장에 기용된 사례가 없다는 점에서, 이번에도 민간 출신이 금감원장을 맡을 가능성도 있다. 민간 출신으로 하마평에 오른 이들은 김은경 금감원 금융소비자보호처장, 정재욱 전 KDB생명 사장, 최운열 전 의원 등이다.
여기에 시한부 유임된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을 비롯해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 등 재직 2년이 넘은 장수 장관들도 교체 대상으로 거론된다. 재직한 지 2년이 가까워진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등도 교체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총리 교체에 이은 경제부총리 교체로 연쇄적인 자리 이동이 일어나면서 대대적인 인적 쇄신 작업이 단행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곽은산 기자, 세종=우상규 기자 silver@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