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 간 수익 양극화 갈수록 벌어져
지난해 국내 상장사 영업이익이 25% 가까이 증가했지만 4곳 중 1곳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낼 정도의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코스피·코스닥 비금융 상장기업 1017곳의 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국내 상장기업의 영업이익은 2019년 53조9000억원보다 24.9% 증가한 67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2019년 영업이익이 크게 감소한 데 따른 기저 효과의 영향과 코로나19로 반사이익을 누린 반도체·가전 등 주력 산업의 이익률 개선 때문이라고 한경연은 설명했다.
영업이익 증가가 일부 기업에 집중되면서 기업 간 K자형 양극화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상장사 매출액 최상위 20%와 최하위 20% 간 평균 매출액 비율은 2019년 266.6배에서 2020년 304.9배로 확대된 것. 매출액 상·하위 20% 기업 간 평균 영업이익 차이도 2019년 2386억원에서 2020년 3060억2000만원으로 28.3% 늘어났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내는 이자보상배율 1미만 기업의 수는 2019년 249곳에서 2020년 255곳으로 6곳 늘어났다. 이는 상장기업의 25.1%에 해당한다.
남혜정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