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GM 등 기업과 대응 협의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정부가 오는 12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개최하는 반도체 대란 대책 회의에 삼성전자를 포함한 관련 기업 관계자들을 초청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일 보도했다.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브라이언 디스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반도체 업계 관계자 등과 만나 반도체 칩 부족 사태의 파장과 대책 등을 협의할 것이라고 블룸버그가 전했다. 이 회의에는 삼성전자, 제너럴 모터스, 글로벌파운드리 등과 같은 반도체, 자동차, 테크 기업 대표가 다수 초청됐다고 이 통신이 보도했다. 미국은 한국을 포함한 동맹국의 외교·안보 고위 당국자 간 접촉을 통해 반도체 수급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최근 세계 각국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노트북과 가전제품 수요 급증으로 반도체 칩 대란을 겪고 있고, 이로 인해 북미 지역 자동차 제조업체의 공장 가동에 중대한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글로벌 자동차 업계는 차량용 반도체를 제때 공급받지 못해 감산에 돌입했다. 컨설팅업체 알릭스파트너스는 올해 자동차 업계 손실이 610억달러(약 69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실제로 현대차는 반도체 품귀로 오는 7~14일 8일간 울산1공장 가동을 멈춘다.
반도체 공급난 파장은 가전·정보기술(IT)·컴퓨터 생산업계로도 번지고 있다. 애플 최대 협력사인 대만 폭스콘은 지난달 30일 열린 실적 발표에서 “반도체 부족으로 아이폰 생산량이 10% 줄었다”고 밝혔다. 세계 가전 1위 업체인 미국의 월풀은 중국 공장에서 생산해 미국·유럽으로 보내는 가전제품 생산량이 25%나 줄었다고 최근 발표했다.
현재 대만 TSMC와 삼성전자가 글로벌 시장 점유 1, 2위를 각각 차지하면서 반도체 칩 물량의 대부분을 공급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의 반도체 공급망을 재검토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을 내린 데 이어 지난달 31일 2조2500억달러 규모의 대규모 인프라 투자 계획의 일부로 500억달러를 반도체 분야에 투입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워싱턴=국기연 특파원 ku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