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올해 저소득층 주거 안정을 위해 무주택 서민에게 4만3000가구의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한다. 또 저소득층 24만1200가구에 주거 급여를 지급한다.
2일 경기도는 도내 28만여 가구에 혜택을 주는 ‘2021년 주거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도는 올해 3만 가구의 공공임대 주택을 건설해 공급하고, 1만3000가구의 기존 주택을 매입 또는 임차해 저소득층에게 임대로 공급할 예정이다. 대상은 생계·의료급여 수급자, 청년, 신혼부부, 고령자, 장애인, 한부모 가정 등이다.
아울러 청년 주거 안정과 저출산 극복을 위해 공급하는 임대주택인 ‘경기 행복주택’을 올해 3356가구를 공급한다. 또 2156가구의 사업계획을 추가 승인할 예정이다.
도는 무주택자 누구나 적정 임대료를 내고 30년 이상 거주할 수 있는 ‘기본주택’ 실현을 위한 제도 개선에도 속도를 낸다. 기본주택 국회 토론회를 개최하고, 홍보관을 개관하는 등 법령 제·개정을 위한 제도 개선을 이어갈 방침이다.
이 밖에 저소득층 24만1200 가구 중 임차 가구(24만가구)에 월평균 약 17만5000원의 주거비를, 자가 가구(1200가구)에는 최대 1241만원의 주택개량비를 지원한다.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에너지 효율화 주택 개보수사업인 햇살 하우징(500가구) 등의 사업도 추진한다.
매입 임대주택 신규 입주자 1200가구에는 임대보증금을 가구당 최대 250만원까지 지원한다.
홍지선 경기도 도시주택실장은 “무주택자 누구나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주거 안정 정책을 지속해서 확대하겠다”며 “국회와 정부, 시·군, 공공기관과 공조 체제도 긴밀히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수원=오상도 기자 sdo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