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미·일 16일 첫 정상회담…숨가쁘게 움직이는 한반도 정세 [특파원+]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 특파원+

입력 : 2021-04-02 10:39:12 수정 : 2021-04-02 15:00:16

인쇄 메일 url 공유 - +

日 정부, 스가 총리 16일 첫 바이든 대통령과 대면회담 발표
스가 “美, 日을 극히 중시하는 증거…美 대통령과 신뢰 구축”
한·미·중·일 외교안보회담 각각 연쇄개최…동북아 정세 주목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오는 16일(이하 현지 시간)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와 첫 대면회담을 한다.

 

일본 정부 대변인 가토 가쓰노부(加藤勝信) 관방장관은 2일 정례 브리핑에서 스가 총리가 16일 미국 워싱턴에서 바이든 대통령과 회담한다고 발표했다. 스가 총리는 올 1월 취임한 바이든 대통령과 대면회담하는 첫 외국 정상이 된다. 

 

가토 장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각국 정상에 앞서 스가 총리가 바이든 대통령과 첫 대면회담을 하게 됐다”며 “미국이 일본을 지극히 중시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이어  “일·미 동맹의 결속을 대외적으로 과시하는 동시에 인도태평양지역에 대한 미국의 약속 이행(commitment)을 보여준다는 점에서도 매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미국과 일본은 자유, 인권, 법의 지배라는 기본적 가치를 공유하고 있다”며 “직접 대면으로 만나 회담하는 것은 정상 간의 개인적 신뢰관계를 구축하는 데도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했다. 

 

스가 총리도 1일 TV도쿄 프로그램에서 “미국이 나를 외국 정상으로 처음 받아들이는 것은 일본을 극히 중시하고 있다는 증거”라며 “일본에 있어서 유일한 동맹국이니 (미국) 대통령과 만나 개인 간의 신뢰를 구축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지난달 미국의 토니 블링컨 국무부 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국방부 장관의 아시아순방을 계기로 한반도 주변 정세가 숨 가쁘게 움직이고 있다. 미국 국무·국방부 장관이 일본, 한국과 차례로 각각 2+2(외교+국방) 회의와 개별 장관 회담을 가졌다. 이어 귀로에 미국 알래스카 앵커리지에서 미·중 외교 수장인 블링컨 장관과 양제츠 외사공작위원회판공실 주임(중국공산당 외교담당 정치국 위원)이 세기의 회담을 했다. 바이든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대면에 앞선 전초전 성격이었던 회담에서 미·중 양측은 날 선 대화를 주고받으며 대립 불사 의지를 전 세계에 과시했다.

 

2일에는 미국 워싱턴에서 서훈 국가안보실장, 제이크 설리번 미국 국가안보보좌관, 기타무라 시게루(北村滋) 일본 국가안보국장이 참여하는 한·미·일 안보실장 회의가 열리고, 3일에는 중국 푸젠(福建)성 샤먼(廈門)에서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취임 후 처음으로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과 한·중 외교장관 회담을 갖는다. 

 

지난 2월 일본의 해병대로 불리는 육상자위대 수륙기동단 대원들이 CH-47JA 헬기로 차량을 수송해 작전에 투입하는 공중기동훈련을 하고 있다. 이 훈련에서는 중(重)박격포도 이 헬기로 수송하는 훈련을 했다. CH-47JA 헬기는 일본 정부가 한반도 유사시 파견해 일본인을 소개하는 데 사용하겠다는 장비 중 하나다. 수륙기동단 페이스북

정권 출범 후 대북 정책 전반을 재검토하고 있는 바이든 행정부는 관련 국가와의 연쇄 회담을 통해 북한 문제를 포함한 동북아 정책의 기조를 정할 것으로 보인다.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은 1일 브리핑에서 바이든 행정부가 진행해온 대북 정책 검토와 관련한 질문에  “우리는 미국의 대북 정책의 중심에 비핵화가 계속 있을 것이라고 말해왔다”고 밝혔다. 

 

특히 한·미·일과 중국의 움직임은 향후 동북아시아에서의 미·중 대결의 향배를 가늠할 수 있는 바로미터가 될 전망이다. 바이든 행정부는 북한을 넘어 중국에 대한 대응을 시야에 넣고 한·미·일 3국 공조 복원을 시도하고 있으며, 중국은 3국 협력의 가장 약한 고리일 수 있는 한국 공략에 나섰다.

 

미국은 중국을 전략적 경쟁자로 규정하고 중국의 부상을 차단하려고 하고 있으며 일본은 해양진출을 강화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 구상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미국의 동맹국이면서도 중국 경제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한·미·일 안보협력이 대북 대응 수위를 넘어 반중(反中) 블록으로 부각하는 것을 극히 경계하고 있다.  

 

도쿄=김청중 특파원 c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