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30일(현지시간) 비공개로 전체 회의를 열어 북한이 지난 25일 발사한 탄도 미사일 문제를 논의했으나 공동 성명이나 언론 발표문 채택 등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하지 못한 채 일단 산회했다. 안보리 이사국들은 이날 약 30분간 회의를 열었고, 이사국들이 북한의 탄도 미사일 발사를 규탄했다고 AFP 통신 등 외신이 전했다. 유엔의 한 외교관은 “대다수의 참석자가 우려를 표명했고, 비핵화 목표를 달성할 필요성과 외교와 대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말했다.
이번 회의는 영국·프랑스·노르웨이·에스토니아·아일랜드 등 유럽 5개 이사국의 요구로 소집됐다. 북한은 안보리가 특정 회원국의 주권을 침해하는 ‘이중 기준’을 적용하면 안 된다고 안보리의 회의 소집에 반발했다. 조철수 외무성 국제기구국장은 29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담화에서 “유엔 안보리 일부 성원국들이 자주적인 나라들의 주권을 침해하고, 발전을 저해하기 위한 불순한 목적 실현에 유엔을 도용하고 있는 데 대하여 절대로 간과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안보리 비상임 이사국인 노르웨이 대표부는 이날 회의가 끝난 뒤 트위터를 통해 북한이 탄도 미사일 발사를 금지한 유엔 안보리의 결의를 준수하고, 국제 사회와 의미 있는 대화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전날 언론 브리핑에서 북한의 탄도 미사일 발사가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고 지적하고, 북한의 행위가 한·미·일 3국의 대북 공조 체제를 흔들지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유엔 주재 미국 대사는 미국이 한·일 양국과 이 문제를 협의했고, 안보리 산하 대북제재위원회에서 이 문제를 논의했으며 유엔 차원의 추가 조처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폴 라카메라 미국 태평양육군 사령관은 이날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주최한 세미나 연설을 통해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과 북한의 위협에 유사점이 있고, 이에 대응하려면 군의 역량을 통합한 대응 작전 능력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임스 맥콘빌 육군참모총장은 각급 지휘관에게 업무에 맞는 선택권을 주고, 이를 공동 대응 계획으로 통합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워싱턴=국기연 특파원 kuk@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난각 번호 논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90.jpg
)
![[기자가만난세상]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인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73.jpg
)
![[세계와우리] 원잠을 보유할 준비는 됐는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96.jpg
)
![[기후의 미래] 빌 게이츠에 실망한 진짜 이유](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63.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