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역대 최대’ 주택거래에… 작년 중개업소 폐업 18년 만에 ‘최소’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1-01-22 13:00:00 수정 : 2021-01-22 14:50:45

인쇄 메일 url 공유 - +

지난  21일 서울시내 한 부동산 공인중개사 사무소에 매물관련 정보가 붙어있다. 뉴스1

전국적으로 주택 거래가 역대 최대였던 지난해 부동산중개업소의 폐업이 18년 만에 가장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한국공인중개사협회에 따르면 작년 전국 공인중개사 개업은 1만7561건, 폐업은 1만2773건, 휴업은 1087건으로 집계됐다. 폐업 건수는 2002년(1만794건) 이후 18년 만에 최소다.

 

폐업비율로 볼 때는 2002년 말 개업 공인중개사가 7만1901명이었던 데 비해 지난해 말에는 11만786명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오히려 지난해가 더 낮다.

 

중개업소 폐업은 2006년 2만5899건까지 늘어났다가 이후 9년 연속 감소해 2015년 1만3844건에 이르렀다. 이어 2016년(1만4470건)부터 2018년(1만6256건)까지 3년 연속 증가했으나 2019년(1만5496건) 다시 감소세로 전환했고, 지난해에는 전년 대비 17.6% 급감했다. 휴업은 2016년(1050건)부터 2019년(1253건)까지 증가했다가 작년에 4년 만에 감소했다. 감소 폭은 지난해 대비 13.2%다. 개업은 2018년(1만6916건) 대비 지난해 3.8% 증가했다.

 

중개사무소의 개업이 늘고, 폐·휴업이 감소한 것은 작년 역대 최다 기록을 경신한 주택 거래량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전국의 주택 거래량은 127만9305건으로, 정부가 주택 거래량 통계를 작성한 2006년 이후 역대 최대치다.

 

각종 부동산 규제 정책이 쏟아지기 시작한 2019년에는 전국 시도 지부 19곳 가운데 8곳(부산·울산·강원·충북·충남·전북·경북·경남)에서 개업보다 폐·휴업이 많았다. 그러나 작년에는 개업보다 폐·휴업이 많은 곳이 울산과 경남에 불과했다.

 

지난해 6·17대책과 7·10대책을 비롯해 초강력 부동산 규제가 쏟아졌지만, 부동산 중개 업황은 외려 안정세를 찾아가는 분위기를 보인 것이다.

 

공인중개사협회 관계자는 “정부의 정책 발표에 익숙해진 시장의 분위기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실업률 증가 등이 반영된 결과“라고 분석했다.

 

지난 한 해 수도권과 광역시보다는 기타 지방의 개업 선호 현상이 두드러졌다. 수도권·광역시에서는 전년 대비 개업이 2.6% 늘고, 휴·폐업이 15.1% 줄었다. 기타 지방에서는 개업이 8.5% 증가했고, 휴·폐업은 24.1% 감소했다.

 

협회 관계자는 “지난해 도시권역이 아닌 지방까지 주택 거래량이 늘고 가격이 상승한 것과 무관치 않다”며 “각종 규제책이 주택에 집중돼 있다 보니 토지나 임야와 같은 부동산으로 투자자들의 관심이 옮겨가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남혜정 기자 hjnam@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샤오팅 '완벽한 미모'
  • 샤오팅 '완벽한 미모'
  • 이성경 '심쿵'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