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은 25일 윤석열 검찰총장 징계 논란과 관련한 문재인 대통령의 사과에 대해 ‘아전인수식 사과, 안하느니만 못한 사과’라고 했다.
김은혜 국민의힘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대통령의 아전인수식 사과, 국민은 더 혼란스럽다”며 “인사권자로서의 사과란 도대체 무엇인지 궁금하다”고 밝혔다.
이어 “추미애 법무부 장관에 대한 마음의 빚인가, 아니면 대통령의 말을 믿고 살아있는 권력을 수사한 윤 총장에 대한 분노인가”라면서 “법원 판결을 존중하겠다고는 하나 검찰 장악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의지와 다짐으로 읽힌다. 차라리 안하는게 더 나았을 사과”라고 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인 유상범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문 대통령이 인사권자로서 사과했다면, 지금 사과로 끝날 일이 아니다”라면서 “위법한 징계를 청구한 추 장관이 사의 표명을 했으니 이를 즉각 수리함으로써 인사권자로서 책임지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형두 원내대변인도 이날 “대통령의 군색한 입장도 이제는 애처롭다”로 논평했다. 그는 이어 법원이 윤 총장에 대해 면죄부를 준 게 아니라는 민주당의 주장에 대해 “법원의 결정문은 윤 총장을 몰아내려던 징계사유가 터무니 없다는 사실을 낱낱이 지적했다”면서 “왼쪽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려다 안되니 오른 손바닥으로 국민의 눈을 가리려 하지 마라”고 꼬집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이날 윤 총장의 직무복귀와 관련, “법원의 결정을 존중한다”고 말했다.
강민석 대변인은 이날 서면브리핑을 내고 이같이 전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결과적으로 국민들께 불편과 혼란을 초래하게 된 것에 대해, 인사권자로서 사과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법원의 판단에 유념하여 검찰도 공정하고 절제된 검찰권 행사에 대해 성찰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특히 범죄정보 외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거나 사찰한다는 논란이 더 이상 일지 않도록 하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법무부와 검찰은 안정적인 협조관계를 통해 검찰개혁과 수사권 개혁 등의 후속조치를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한편 윤 총장은 이날 낮 12시10분쯤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으로 출근했다. 윤 총장은 이날 조남관 대검 차장검사, 복두규 사무국장으로부터 부재중 있었던 업무에 관해 보고받을 예정이다.
김경호 기자 stillcut@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