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이 주택 문제 관련해 “발상을 전환해야 할 시기”라며 주거난 해결을 위한 공공임대주택 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11일 오전 경기 화성시 LH 임대주택 100만호 기념단지인 동탄 공공임대주택에서 열린 ‘살고 싶은 임대주택’ 보고회에서 “지금 주택 문제가 우리 사회 최고 이슈로 부상하고 국민의 관심이 쏠려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기존 한계를 넘어서서 과감하게 재정을 보다 많이 투입하고, 평형도 다양하게 만드는 등 발상을 근본적으로 전환해야 할 시기”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집이야말로 가장 기본적인 사회안전망이고, 주거권은 인간답게 살기 위한 최소한의 권리”라며 “정부는 국민 모두의 기본적인 주거복지를 실현하는 주거정책을 흔들림 없이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청년과 신혼부부, 노인, 장애인, 저소득층과 같은 주거 취약계층을 위한 공공임대주택 공급은 국가가 가장 우선해야 할 책무”라면서 공공임대주택의 충분한 공급을 통해 서민들의 주거 안정을 도모하겠다는 의지를 다졌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정부는 2022년 공공임대주택 200만호 시대를 열 것이며, 2025년까지 240만호를 달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공공임대주택의 ‘질적 혁신’ 의지도 밝혔다. 그는 “누구나 살고 싶은 공공임대주택을 건설하겠다”면서 “내년부터 공공임대주택 입주요건을 중산층까지 확대하고, 2025년까지 중형임대주택 6만3000호를 공급할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주거복지의 사각지대를 줄여나가겠다”고도 말했다. 그는 “주택보급률이 100%를 넘었지만 아직 쪽방, 고시원 등 열악한 곳에 사는 분들이 많다”며 “저렴하고 쾌적한 공공임대주택으로 옮겨드리고, 취약 주거지는 공공임대주택으로 재탄생시키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당장 내년 영등포 쪽방촌부터 착공해 2025년까지 총 4만호의 이주를 지원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공공임대주택 공급을 지속해서 늘려 국민 누구나 빠짐없이 안정적인 주거권을 누리도록 하겠다”며 “주거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주거 안전망을 더욱 촘촘하게 완성해 나가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정은나리 기자 jenr38@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