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중국, 상륙부대 ‘육전대’ 강화나서… “미 해병대에는 아직 역부족”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0-10-15 14:26:09 수정 : 2020-10-15 14:26:08

인쇄 메일 url 공유 - +

시진핑, 광둥성 육전대 부대 방문 시찰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육전대. 연합뉴스

중국이 상륙부대의 전투력 강화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남중국해와 대만해협 등을 둘러싼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중국 인민해방군(PLA)는 세계 최강 상륙부대로 알려진 미국 해병대에 뒤지지 않는 부대를 키울 것이라는 분석이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5일 군사 전문가들을 인용해 인민해방군 해군 육전대(해병대격)에 전투태세를 강화하기 위한 합동 작전 훈련을 늘릴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같은 보도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광둥성 차오저우시의 육전대 부대를 시찰한 직후 나온 것이다.

 

시 주석은 지난 13일 차오저우시 주둔 육전대를 방문해 인민해방군 현대화 추진에 맞춰 육전대도 목표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시 주석은 “육전대는 자신의 목표, 방향, 팀 구축의 경로와 초점에 맞는 로드맵을 제시해야 한다”고 지휘관들에게 말했다. 시 주석의 이런 발언은 현재의 육전대에 대해 만족하지 못한다는 뜻을 밝힌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해석이다.

 

인민해방군 해군 소장 출신의 군사전문가 리제는 “대만 통일계획에서 수륙양용 작전을 수행하는 것은 육전대 임무 가운데 한 부분에 불과하다”면서 육전대의 임무에는 동중국해와 남중국해의 중국 전초기지들에 대한 방어 임무도 포함돼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육전대는 규모뿐만 아니라,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측면에서 현대적인 전투 프로그램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육전대는 시 주석의 집권 이후 대규모 군대 개혁에도 불구하고 인민해방군 가운데 지속해서 확대된 유일한 부문이다. 군사 전문가들은 중국이 2017년 2만명에 불과하던 육전대 병력 규모를 10만명까지 확대할 계획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미국의 싱크탱크인 제임스타운 파운데이션은 중국 육전대의 규모가 40만명까지 늘어날 수도 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13일 남부 광둥성의 차오저우에 주둔하는 해병부대를 방문해 훈시하고 있다. 차오저우=신화연합뉴스

중국은 또 상륙작전 전용의 071형 강습상륙함 전단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뿐만 아니라 지난 8월에는 ‘헬리콥터 항공모함’으로 불리는 075형 강습상륙함의 첫 해상 시운전을 하기도 했다. 군사 전문가들은 이 075형 강습상륙함이 이르면 내년 상반기에 육전대에 인도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075형 강습상륙함은 배수량 4만t급으로, 미국의 와스프급 강습상륙함과 아메리카급 강습상륙함에 이어 세 번째 규모다. 미국의 와스프급 강습상륙함은 헬리콥터뿐만 아니라 수직 이착륙기도 탑재하고 있지만, 중국 해군은 아직 수직 이착륙기를 보유하지 못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아직 중국의 강습상륙함들이 미국 강습상륙함에 대적하기에는 역부족이라고 평가했다. 리제는 “071형 강습상륙함이나 075형 강습상륙함은 미 해병대의 와스프급 강습상륙함에 미치지 못한다”면서 “왜냐하면 와스프급 강습상륙함은 F-35B 스텔스기를 탑재할 수 있지만, 중국은 여전히 강습상륙함에 탑재할 스텔스 헬리콥터도 개발하지 못한 상태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싱가포르 난양이공대의 콜린 코 교수는 중국 인민해방군 육전대의 급속한 강화 의도에 대해 중국의 글로벌 이해관계 확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원정 군사력’을 확보하려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그는 “전시와 평시의 임무가 확대됨에 따라 육전대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면서 “중국의 육전대는 전 세계에서 전투 경험이라는 유리한 조건을 갖춘 미국 해병대에 대적할 만한 통합작전 능력을 수행하기 위해선 아직 갈 길이 멀다”고 말했다.

 

조성민 기자 josungmi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지수 '시크한 매력'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
  • 스칼렛 요한슨 '아름다운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