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 시기·뒷담화 타고난 천성?
가부장적 사회 속 ‘편견’ 정면 비판
20∼80대 여성 100여차례 인터뷰
헤어질 때 “집에 도착하면 문자해”
여성들 인사 속 ‘따뜻한 우정’ 예찬

오랫동안 폄하됐거나 부인됐던 ‘여자들의 우정’을 파헤치고 분석한 책이다. 저널리스트인 저자는 이 책을 쓰기 위해 20∼80대 다양한 세대의 여성들과 100여 차례 인터뷰했고 역사 속, 또는 영화나 드라마 속 여성들의 우정을 살폈다. 여성에 관한 생물학적 지식과 사회학적 분석도 했다. 여기에 자신의 솔직한 경험을 반영했다. 결국 연예도 결혼도 채울 수 없는 여자들만의 우정을 책 전반에서 예찬하고 있다.
책에 따르면 ‘여자의 적은 여자’란 말은 여성 간 우정을 부정하는 대표적인 말이다. 여성 사이에 다툼이 생겨나면 으슥한 탕비실에서 혹은 술집에서 이런 말들이 슬그머니 고개를 내민다. ‘여자는 애인이 생기면 잠수 탄다’, ‘여자 상사는 여자 직원을 더 괴롭힌다’ 같은 말들도 우리 주변에서 심심치 않게 들린다. 누군가는 이런 말들에 고개를 끄덕이면서 자신의 경험을 덧붙이기도 한다. 여성의 진정한 관계는 남자와만 이뤄진다는 인식은 영화에서도 흔하게 등장한다.
과연 여성들에게 진정한 우정은 없는 걸까. 여성들은 서로를 불신할 수밖에 없는 걸까. 저자는 여성을 폄훼하는 많은 학자가 여성에게는 서로를 미워하고 심술궂게 대하는 유전자가 있는 것처럼 여겨지지만 제대로 된 다양한 연구에 따르면 관계적 공격성에는 남녀 차이가 없다고 단도직입적으로 말한다.
책에 따르면 예전부터 남성들의 우정이 과도할 정도로 존중받는 데 비해 여성들의 우정은 쉽게 사라지는 것으로 치부되기 일쑤였다. 역사 속에서도 여성들의 결속은 무시와 비판과 모욕의 대상이었다. 고대 철학자부터 종교 지도자에 이르기까지 남자들은 늘 여자들이란 도덕성이 부족해 우정으로 연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가르쳤다. 게다가 여성의 우정을 표현한 역사적 근거 자료를 찾기는 쉽지 않다. 이를 두고 일부 비평가들은 여성이 서로를 믿지 못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말하는가 하면 여성에게는 서로를 미워하고 심술궂게 대하는 유전자가 있다고 여기기도 했다. 책, 영화, 웹사이트 등에는 서로에게 냉혹하게 구는 여자아이들이 등장했고, 그로 인해 ‘못된 여자애들’이라는 편견은 계속 강화됐다.
하지만 여자들이 남자들보다 더 심술궂다는 통념이 과학적인 연구 결과에서 나온 건 아니라는 것이다. 각종 연구에 따르면 관계적 공격성에는 남녀 차이는 없었다.

처음 ‘못된 여자애들’이란 편견에 ‘관계적 공격성’이란 낙인을 찍은 것은 1990년대 핀란드의 카이 비외르크비스트 교수팀이 행한 연구다. 관계적 공격성은 누군가의 명성이나 사회적 지위를 은밀하게 깎아내리는 간접적 공격을 말한다. 그 연구의 결론은 여자아이들도 남자아이들처럼 일종의 공격성을 보이지만 그 방식이 다르다는 것이었다.
‘못된 여자애들’이라는 개념이 1990년대 페미니즘 운동에 대한 반발로 생겨났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더구나 가부장적인 사회 분위기 아래서 결혼한 여성은 가족에게 헌신하는 것 외에 아무런 관계가 허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여성의 우정은 더 낯선 것이 되고, 여기에 편견들이 더해져 여자의 우정은 계속 폄하될 수밖에 없었다.
책은 여성들이 헤어질 때 “집에 도착하면 문자해”라고 하는 이유를 이렇게 정의한다. 그 말은 집에 무사히 도착했는지에 대한 염려, 혼자 남았을 때 느끼는 불안감, 친구들을 만난 후 느끼는 행복감과 조바심을 모두 담은 것이라고 말한다. 여성에게 우정은 연대감이자 여성으로 세상 앞에서 경험하는 끈질긴 두려움을 이겨내는 응원이라는 것이다.
저자는 여성에게도 다양한 인간관계가 필요하다고 주문한다. 우리 어머니 세대까지 여성들 일상은 대부분 남편이나 자녀 위주로 채워졌다.
하지만 가족에게 모든 인간관계를 바치는 방식은 이제 힘을 잃고 있다고 설명한다. 더는 여성이 배우자만을 바라보고 사는 세상이 아니다. 1인 가구를 비롯한 생활 양태가 다양해지고 있다. 우리는 이제 여러 성격의 인간관계를 한 사람에게만 부여하지 않고 사는 법을 배워야 한다. 이때 여성들이 되찾아야 할 건 우정이다. 세상이 수많은 편견으로 방해했던 여성의 우정을 관계의 우선순위에 두고도 충분히 좋은 삶을 살 수 있으며, 여성들의 우정은 그 무엇보다 견고하다고 설명한다. 오랫동안 폄하됐던 여성들의 우정만으로 관계의 충만감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을 담담하게 보여주는 책이다.
박태해 선임기자 pth1228@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