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지오비전’ 공공기관에 제공
사람들 이동량 분석해 방역에 이용

SK텔레콤은 31일부터 2일까지 빅데이터 유엔 글로벌워킹그룹과 한국 통계청 주관으로 열리는 ‘제6회 빅데이터 국제회의’에서 자사의 빅데이터 플랫폼 ‘지오비전’ 기반 코로나19 대응 사례를 발표한다.
이번 ‘빅데이터 국제회의’의 주제는 ‘빅데이터가 코로나19 대응에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을까’이다. 이번 회의에 참석한 세계 각국의 통계 전문가들은 코로나19 대응과 향후 지속 가능한 성장 추진에 빅데이터가 기여할 방법과 협력 등을 논의한다.
SK텔레콤은 이번에 통계청과 함께 실시한 코로나19 관련 인구 이동 조사 사례를 발표한다. 모바일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코로나19 발생 후 국민들의 ‘이동’(거주하고 있는 시군구를 30분 이상 벗어난 경우)량을 분석한 결과는 정부의 코로나19 확산 대응에 활용됐다. 또 코로나19 대응 확산 방지를 위해 자사의 빅데이터 기반 실시간 유동인구 분석 서비스 ‘지오비전’을 여러 공공 기관에 무상 제공한 사례를 발표해 참여자들의 큰 관심을 받았다. 공공 기관들은 지오비전을 적극 활용, 특정 지역 방역 강화 및 핀포인트 순찰을 시행하는 등 코로나19 확산 방지에 나서기도 했다. SK텔레콤이 자체 개발한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지라프’를 통해 60TB(테라바이트)에 이르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5분 단위로 분석하고 시각화 작업까지 완료해 제공한다.
SK텔레콤 장홍성 광고·데이터사업단장은 “이번 발표 참여는 전 세계가 SK텔레콤의 빅데이터 활용 역량을 인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앞으로도 5G, 인공지능(AI) 등 ICT 역량을 통해 사회 발전에 이바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구성 기자 ks@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