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소는 지붕 위로… 시장은 폐허로… 상인은 "아이고" 한숨만

입력 : 2020-08-10 06:00:00 수정 : 2020-08-11 09:43:54

인쇄 메일 url 공유 - +

구례·하동, 물 빠지니 온통 뻘밭
“파도같은 강물 골목서 밀려와”
섬이 된 구례 구조보트 뜨자
건물 위층선 “살려 주세요”
화개장터 상인들은 망연자실
용케 살았구나… 주말 동안 전남 지역에 많은 비가 내려 인명·재산 피해가 속출했다. 전남 구례군 구례읍의 한 마을 주택 지붕에 소들이 올라가 있다. 전날 하천 범람으로 물에 떠다니다가 지붕 위로 올라간 뒤 내려오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구례=연합뉴스

 

“파도처럼 강물이 막 밀려 들어와 시장이 뻘밭으로 변했어. 살아생전 이렇게 험악한 난리는 처음 겪네.”


9일 전남 구례군 구례읍 오일장에서 만난 박모(69·여)씨는 손을 자신의 머리 위로 뻗으며 침수 높이를 설명했다. 오일장에서 30여년간 식당을 운영한 그는 전날 오후 6시쯤 장사 준비를 하다 급하게 피신했다. 구례읍내는 전날 오전부터 운동화가 젖을 정도 높이의 물이 어느새 어른 허리까지 올라왔다. 물은 서서히 불어나더니 2층 이하 높이의 건축물은 아예 보이지 않을 정도가 됐다.

표지판과 전신주는 윗부분만 겨우 모습을 드러냈다. 비닐하우스와 논밭이 있던 마을 어귀는 형태를 알아볼 수 없다. 가로수들은 거친 물살을 따라 힘없이 출렁거릴 정도로 구례읍 시가지가 물속에 파묻혀 버렸다. 소방대원들이 탄 빨간 보트가 지나갈 때면 숙박업소나 상가 건물 위층에서 “살려주세요”라고 외치는 목소리가 들렸다.

7일과 8일 이틀 동안 500㎜가 넘는 집중호우가 내려 섬진강이 범람하면서 전남 구례군 구례읍과 경남 하동군 화개장터가 물에 잠겼다. 폭우로 섬진강이 범람한 데다 구례 서시천 제방이 무너지면서 피해가 컸다. 섬진강과 영산강 수계 일대에서는 4200여명이 학교 등으로 긴급 대피했다.

 

통채로 잠긴 구례읍 지난 7일부터 남부지방에 최고 587㎜의 폭우가 내린 가운데 8일 섬진강에서 넘친 강물이 전남 구례군 구례읍으로 흘러들면서 주택가가 흙탕물에 잠겨 있다. 구례=연합뉴스

 

구례읍 시가지와 시장을 온종일 채운 강물은 전날 오후 10시가 돼서야 빠졌지만, 물이 휩쓸고 간 곳은 흙탕물과 기름으로 폐허가 됐다.

주민들과 상인들은 가재도구와 상품을 지하수에서 양동이로 퍼낸 물로 씻거나 경운기를 친척에게 빌려와 물을 퍼내며 기름 물로 집기를 씻고 있었다. 수도마저 끊긴 때문이다.

 

구례의 농경지와 비닐하우스도 쑥대밭이 됐다. 서시천 제방이 붕괴한 현장 바로 옆 논밭에는 밀려든 강물에 원래 모습을 가늠하기도 어렵게 변한 비닐하우스는 뼈대만 어지럽게 얽혀 있었다. 물에 휩쓸린 컨테이너가 비닐하우스에 올라가 있기도 했다. 서시천 제방은 끊긴 채 복구는 손을 못 대고 있었고, 제방 붕괴와 함께 유실된 도로변 복구 작업만 겨우 진행되고 있었다.

주변 축사의 소들도 물에 떠다니다 축사 지붕 위로 피신했다가 물이 빠지면서 오도 가도 못 하는 신세가 되기도 했다.

32년 만에 물에 잠겼다가 물이 빠진 이날 경남 하동군 화개장터 역시 폭격을 맞은 듯 처참했다. 화개장터는 입구부터 폐허를 방불케 했다. 상가 앞에는 떠내려가다 걸린 잡초 등 쓰레기더미와 널브러진 LP가스통, 장판, 합판 등 각종 집기가 나뒹굴어 이곳이 장터였는지 의심케 할 정도였다. 가게마다 다양한 상품을 묶어둔 진열대에서는 흙탕물이 뚝뚝 떨어졌고, 바닥은 진흙으로 질퍽거렸다. “아이구” 하는 한탄 섞인 소리가 곳곳에서 들려왔다.

 

9일 오후 경남 하동군 화개면 탑리 화개장터에 공예품에서 상인이 비에 젖은 물품을 건지고 있다. 화개장터는 전날 400㎜ 이상 폭우가 내려 마을이 침수됐다. 연합뉴스

 

상인들은 어디서부터 복구의 손을 뻗을지 몰라 망연자실했다. 인근 하동취수장이 침수돼 생활용수 급수마저 제한돼 복구작업에 애를 먹고 있다.

화개장터에서 30년 넘게 식당을 운영했다는 김모(68)씨는 한숨만 내쉬었다. 김씨는 “갑자기 불어난 물에 가게 내 물건을 챙길 여유도 없이 몸만 빠져나왔다”며 “가뜩이나 어려운 상황에서 비 피해까지 생겨 걱정”이라고 말했다.

이번 폭우로 가게가 침수된 상인들은 울상이다. 한 상인은 “화개장터 내 가게마다 수천만원어치의 약초 등을 보관하며 판매했는데 흙탕물에 잠기고 일부는 유실돼 생계가 막히게 됐다“고 울먹였다. 김유열(58) 화개장터 상인회장은 “대부분 가게가 코로나19 이후 어려움을 겪다가 휴가철을 맞아 장사가 잘될 것으로 기대하고 물건을 들여놓았는데 물난리가 나서 난감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낙동강 제방도 유실돼 창녕군과 합천군 등에서도 주택과 농경지 침수 피해가 잇따랐다. 비 피해 주범은 폭우였다. 하동군 관계자는 “지리산 인근 강우량 측정치는 최대 530㎜였던 것으로 측정됐고, 섬진강댐 방류와 주암댐 방류가 만조와 겹치면서 섬진강 지류인 화개천이 범람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영산강홍수통제소 관계자도 “7일 오후 10시 이후부터 당초 예보와 달리 더 많은 비가 내렸고, 댐이 붕괴될 수도 있는 상황까지 와서 1800t을 방류했다”고 말했다.

 

구례·하동=이보람·한승하·강민한 기자boram@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최지우 '완벽한 미모'
  • 최지우 '완벽한 미모'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