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가 AI(인공지능) 클린봇 업그레이드 이후 한 달, 뉴스 댓글 공간의 변화를 설명했다.
21일 네이버다이어리에 따르면 네이버뉴스 댓글 작성수는 소폭 감소했지만, 작성자 수는 오히려 8% 늘었다.
악성 댓글 노출을 제한하면서 ‘신고’는 53.6%, ‘비공감’ 클릭은 21.5% 감소했다.
AI(인공지능) 클린봇 업그레이드 이후 탐지 건수는 2배 늘었다는 게 네이버 측 설명이다.
네이버는 올해 상반기 ▲댓글 활동이력 공개 ▲특정인 댓글 차단 기능 도입 등 여러 가지 시도들을 진행했다. 네이버가 공개한 지난 1월 대비 6월의 뉴스 댓글 변화는 다음과 같다.

1. 댓글 수는 0.7% 감소했지만, 작성자 수는 8% 증가했다.
연초 대비 6월 댓글 수는 0.7% 소폭 감소했지만 작성자 수는 8% 늘었다. 작성자가 직접 삭제한 댓글 수는 20.8% 감소하고, 1인당 댓글 작성 빈도는 8% 줄었다. 댓글이력 공개, 본인확인제 시행이 댓글 공간 위축을 가져올 것이란 우려에도, 반대로 더 많은 사용자들이 참여해 더욱 신중하게 다양한 목소리를 남겼다.
2. 악성 댓글의 작성과 노출 모두 눈에 띄게 줄었다.
같은 기간 악성 댓글 작성이 감소해 규정을 위반해 삭제되는 건수는 63.3%나 줄었고, 악성 댓글 노출이 줄어든 영향으로 비공감 클릭은 21.5%, 신고는 53.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3월 ‘댓글 이력 공개’는 악성 댓글 작성 감소에, 4월 ‘특정인이 작성한 댓글 차단’, 6월 ‘클린봇 업그레이드’는 악성 댓글 노출을 줄이는 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3. 이용자 별 ‘댓글 모음 페이지’ 방문은 4배 늘면서 콘텐츠 소비도 증가했다.
모든 이용자들이 그동안 작성해 온 댓글 모음을 공개하도록 전환되면서 다른 이용자의 ‘댓글 모음 페이지’ 방문이 4배나 증가했다. 또 댓글 모음 페이지 하단 리스트를 통해 기사에 유입되는 경우도 22.5% 증가했다. 이용자 별 댓글 모음 페이지를 더욱 활성화하고, 이 영역을 통한 콘텐츠 소비를 더욱 확대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뉴스 댓글의 이런 달라진 모습을 가속화한 것은 업그레이드 된 AI 클린봇이다. 지난 6월19일 네이버의 독자 기술력을 녹여 한층 업그레이드 된 AI 클린봇의 우수한 성능을 적용 한달을 맞이해 소개한다.
4. AI 클린봇 탐지 건수가 2배 증가했다.
업그레이드된 AI 클린봇은 악성 댓글 판단 기준을 ‘욕설 단어’에서 ‘문장 맥락’을 고려하는 것으로 확대했고 종전보다 기사에 따라 1.5~2배가량 향상된 탐지 성능을 확인했다.
5. 악성 댓글 노출이 줄어 신고 건수도 19% 감소했다.
AI 클린봇은 실시간으로 탐지된 악성 댓글을 블라인드 처리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악성 댓글이 줄어들면서 6월 AI 클린봇 업그레이드 직전 대비 악성 댓글 신고 건수가 19% 감소했다.
6. 이모티콘 등 욕설 표현의 다양한 케이스를 탐지하고 있다.
AI 클린봇은 다양하게 변형된 욕설까지 탐지한다. 특히, 단어가 아닌 이모티콘이나 특수기호를 이용해 시각적으로 만들어내는 욕설까지 탐지하는 촘촘함을 보여주고 있다.
네이버는 “지난 한달 간 AI 클린봇 활동 데이터를 토대로 확인한 AI클린봇의 정확도는 95% 내외”라며 “향후 정확도는 더 높이고, 탐지 범위는 넓히기 위한 개선작업을 계속해 뉴스 댓글 서비스가 해당 뉴스에 대한 개인의 의견을 나누고 토론하는 공론장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AI클린봇의 성능 개선 외에도 악성댓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기술적 시도들을 계속 해나갈 예정”이라며 “연말에는 지금보다 한층 더 발전된 뉴스 댓글 공간을 보여드릴 수 있도록 책임감 있게 개선해 나가겠다”라고 전했다.
현화영 기자 hhy@segye.com
사진=네이버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