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공사가 보안검색 요원들을 자회사 정규직 전환이 아닌 청원경찰로 신분을 바꿔 직접고용하면서 노조가 반발하고 있다.
22일 인천공항공사는 오는 30일 인천공항에 근무하는 비정규직 9785명에 대해 정규직 전환을 마무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번 정규직 전환을 통해 공항소방대(211명)와 야생동물통제(30명), 여객보안검색(1902명) 등 생명·안전과 밀접한 3개 분야는 공사가 직접고용하게 된다. 또한 공항운영(2423명), 공항시설·시스템(3490명), 보안경비(1729명) 등은 공사가 100% 출자한 3개 전문 자회사로 각각 전환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공사가 직접고용하는 인원은 2143명이며 나머지 7642명은 자회사 정규직으로 전환된다.
논란은 여객보안검색요원에게 발생했다.
당초 인천공항공사는 보안검색 요원들을 공사 자회사의 정규직 직원으로 우선 채용한 뒤 법률을 정비해 직접 채용할 계획이었다. 항공산업과 부동산 임대업이 주요 업무이다 보니 무기를 소지할 수 있는 경비업법상 특수경비원을 고용할 수 없어서이다.
다만 보안검색 요원들은 2017년 문재인 대통령이 인천공항을 찾아 “안전과 생명 관련 업무 분야는 반드시 정규직으로 전환하겠다”고 약속한 만큼 정규직으로 직접 고용해달라고 요구하며 공사 측과 갈등을 빚어 왔다.
이런 상황에서 공사는 법률 검토를 거쳐 이들을 '청원경찰' 신분으로 직접 고용하기로 한 것이 그 내막이다. 청원경찰은 국가 중요시설과 사업장 경비를 담당하기 위해 배치하는 경찰로, 필요할 경우 무기를 소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 공항 보안검색 관계자는 “공사의 결정이 당사자의 의견은 외면한 채 정부의 성과내기를 위한 일방적인 결정”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같은 논란 및 정규직 전환과 관련해 구본환 공사 사장은 이날 오후 직접 브리핑에 나설 예정이다.
양다훈 기자 yangbs@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