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에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마스크 대란’이 계속되면서 지방자치단채들이 자구책 마련에 나섰다. 이중 몇몇 지자체는 손정의(일본명 손 마사요시) 소프트뱅크 회장에게 잇따라 도움을 요청했다.
NHK와 마이니치신문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일본 후쿠이현 당국은 지난 19일 “마스크 1500만장을 독자적으로 확보했으며, 현내 모든 가구에 구입권을 배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수입업체 2곳을 통해 확보한 부직포 재질의 중국산 1회용 마스크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 관계자는 “마스크 1장이 47엔(약 530원) 정도로 평상시 판매가보다 비싸지만, 시중에서 구매할 수 있는 가격보다는 싸다”고 밝혔다. 현재 일본의 인터넷쇼핑몰 등에서는 50장들이 마스크 1상자가 3000~5000엔(약 3만3900~5만6500원) 정도에 판매되고 있다.
이 관계자는 “정부가 배포하는 천 마스크만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주민들이 좀 더 쉽게 마스크를 구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고 덧붙였다.
이런 가운데 요시무라 히로후미 오사카부 지사와 오무라 히데아키 아이치현 지사, 다카시마 소이치로 후쿠오카 시장은 손 회장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나섰다. 손 회장은 지난 18·19일 SNS를 통해 의료용 방호복과 장갑·마스크 등의 조달 계획을 밝혔다.
손 회장은 지난달에도 “100만명에게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간이 검사하는 피시아르(PCR·유전자 증폭) 검사 기회를 제공하겠다”는 뜻을 밝혔으나 “의료 체계의 혼란을 유발한다”는 등의 비난을 받고 계획을 철회한 바 있다.
한편 일본 정부는 코로나19 대응책의 일환으로 총 466억엔(약 5266억원)의 예산을 들여 천 마스크를 1가구당 2장씩 배포하고 있다.
그러나 ‘아베 신조 총리의 마스크’라는 뜻의 ‘아베노마스크’라고 불리는 이 마스크는 부직포 소재 마스크에 비해 코로나19 예방 효과가 떨어진다. 교토통신이 지난 10일부터 13일까지 일본 유권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 76.2%가 정부의 천 마스크 지급 방침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게다가 의료기관과 복지시설, 임산부 등에게 우선 지급된 마스크 상당수가 불량인 것으로 드러나 국민들의 불만이 치솟고 있다. 일본 후생노동성이 지난 17일까지 확인한 불량품만 1900장에 육박한다.
일본 정부 대변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20일 정례브리핑에서 “불량품이 어느 공장에서 생산됐는지 등 세부사항을 조사 중”이라며 “유사한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최승우 온라인 뉴스 기자 loonytuna@segye.com
사진=연합뉴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