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인지기능저하 발생 위험 증가
여성호르몬 탓…남성은 별 영향 없어
김기웅 교수 연구팀 국제학술지 게재

뇌건강을 걱정하는 노년층이라면 커피 마시는 양을 잘 살펴야 할 듯하다. 하루에 커피 2잔을 넘게 마시는 여성은 뇌졸중과 인지기능저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김기웅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경기 성남 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492명을 관찰한 연구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대상자를 커피를 마시지 않은 군, 하루 2잔 이하 마신 군, 하루 2잔 넘게 마신 군으로 구분했다. 또 각 군을 남성과 여성으로 나눠 분석했다. ‘하루 2잔’이란 기준은 평균 커피 소비량에 따른 것이다.
연구팀은 커피 소비량과 ‘뇌백질 고강도신호’ 용적을 비교했다.
분석 결과 2잔을 초과해 마신 여성 군에서는 다른 군과 차이점이 나타났다. 뇌백질 고강도신호 용적이 커피를 섭취하지 않거나 2잔 이하로 마신 여성 군보다 컸다. 남성 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뇌백질 고강도신호’는 뇌 자기공명영상(MRI)을 찍었을 때 뇌로 가는 혈류가 감소하면서 생긴 병변이다. 주로 노인에게 잘 발견되며, 뇌백질 고강도신호가 있으면 뇌졸중과 인지기능 저하가 나타날 위험이 높아진다.
연구팀은 “장기간 카페인 섭취로 뇌 관류가 저하되고, 혈압 상승과 함께 동맥경직도가 증가하면서 노년기에 뇌백질 고강도신호 용적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커피의 어떤 성분이 뇌백질 고강도신호 용적 증가를 유발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김 교수는 “커피로 인한 위험 증가가 남성보다 여성에서 높을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며 “여성이 남성보다 카페인 민감도가 높고, 체내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라디올’ 영향으로 카페인 분해속도가 느린 것이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식품의약안전처는 건강한 성인의 하루 커피 섭취 권장량을 카페인 300~400㎎으로 약 3잔이라고 권고한다. 연구 결과대로라면 권장량을 재검토해야할 필요가 있다.
다만 김 교수는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려면 더 많은 인구수와 인종을 대상으로 후속 연구를 해야 한다”고 연합뉴스에 밝혔다.
이번 연구는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됐다.
김명일 온라인 뉴스 기자 terry@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