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불특정 다수를 무차별적 저주... 현대 ‘혐오사회’ 그리고 싶었죠”

입력 : 2020-03-17 20:59:35 수정 : 2020-03-17 20:59:36

인쇄 메일 url 공유 - +

화제속 종영한 드라마 tvN ‘방법’ 연상호 감독 이메일 인터뷰 / 신념이 만들어낸 ‘정의’ 때문에 / 상대방을 저주해서 죽이는 대결 / 드라마 데뷔… 극본 직접 집필 / 동시대와 호흡하는 작품 하려 노력 / ‘부산행’ 속편 ‘반도’ 올여름 개봉
17일 종영한 tvN 월화극 ‘방법’의 극본을 쓰며 드라마로 외연을 확장한 연상호 감독. tvN 제공

연상호(42) 감독은 장르의 연금술사다. 장르를 넘나들며 독특한 세계관을 선보인다. 애니메이션으로 영화계에 데뷔한 그는 2016년 한국형 좀비물 ‘부산행’으로 1000만 관객을 동원했다. 지난해부터는 최규석 작가와 손잡고 네이버웹툰 ‘지옥’을 연재 중이다.

올해는 드라마로 외연을 확장했다. 17일 종영한 tvN 월화극 ‘방법’의 극본은 그가 썼다. 초자연적 저주에 무속신앙을 결합한 한국형 오컬트물인 이 드라마는 한국 사회의 폭력과 혐오를 돌아보게 한다.

지난 12일 이메일로 만난 연 감독은 “보이지 않는 힘으로 누군가를 저주한다는 점이 ‘방법’의 세계관”이라며 “각자의 신념이 만들어내는 정의를 위해 상대방을 저주해 죽이려 하는 대결을 그리고자 했다”고 말했다.

드라마 제목인 방법(謗法)은 사람을 저주해 손발이 오그라지게 하는 것을 뜻한다. 포레스트 회장 진종현(성동일)에 맞서는 소진(정지소)은 한자 이름과 사진, 소지품으로 방법을 한다. 연 감독은 “어렸을 때부터 알고 있던 방법이란 저주가 2000년대 초반 인터넷상에서 누군가를 지칭해 공격하는 은어로 쓰였다는 걸 듣고 흥미를 느꼈다”며 “현시대는 불특정한 인물을 혐오하며 정체성을 확립하는 혐오사회란 느낌을 많이 받았고, 혐오사회를 배경으로 작품을 만들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시나리오와는 또 다른 작업이었다.

연상호 감독이 꼽은 tvN 월화극 ‘방법’의 명장면. 포레스트 회장 진종현(성동일)을 위해 무당 진경(조민수)이 굿을 하는 모습이다.

“영화와 달리 드라마는 개별 에피소드의 완결 구조와 다음에 이어지는 연결성을 가져야 합니다. 잘 모르는 분야이다 보니 어려움도 있었지만 재밌게 작업했어요. 새로운 영역에 대한 도전을 좋아한다는 걸 확실히 느꼈죠.”

작품을 만들 땐 시대와의 호흡, 보는 사람의 관점을 중시한다. “동시대와 호흡하는 작품이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늘 합니다. 현시점에서 제가 느끼는 사회의 모습을 작품에 잘 녹이는 것이 대중적인 작품을 만드는 유일한 방법이라 생각해요. 요즘은 창작자 관점이 아닌 감상자 관점에서 만들려 하고 있습니다. 어린 시절 좋아했던 만화와 애니메이션, 영화, 소설들을 그 시절의 관점으로 다시 보려 노력해요. 그 작품들의 어떤 면에 끌렸는지, 기분은 어땠는지 떠올려 보고 있죠. 서브컬처(Subculture·하위문화)를 좋아하던 아이였어요. 또 새로운 작품들도 감상자 관점으로 즐기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면 아주 사소한 동경 같은 감정 때문에 ‘나도 만들고 싶다’는 욕구가 생기는 것 같아요.”

그의 차기작은 스크린에서 만나게 된다. ‘부산행’ 속편인 ‘반도’가 올여름 개봉한다. 후반 작업이 한창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영화계뿐 아니라 온 국민이 너무나 힘든 시기라 이 위기를 잘 극복하자는 마음뿐입니다. 전작의 흥행에 대한 부담이 없다고 하면 거짓말이겠지만 부담을 느끼지 않으려 해요. 지금까지 운이 좋아 규칙적으로 일할 수 있는 것 같고, 앞으로도 기회가 있는 한 규칙적인 방식으로 계속 일하고 싶습니다.”

 

박진영 기자 jyp@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조보아 '반가운 손인사'
  • 조보아 '반가운 손인사'
  • 트리플에스 김유연 '심쿵'
  • 트리플에스 윤서연 '청순 매력'
  • 미야오 나린 '상큼 발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