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입춘 맞아 대문에 붙은 입춘방…‘입춘대길 건양다경’ 무슨 뜻?

입력 : 2020-02-04 20:46:19 수정 : 2020-02-04 20:46:17

인쇄 메일 url 공유 - +

입춘을 하루 앞둔 3일 오전 충남 논산시 연산면 양지서당에서 유복엽 훈장(오른쪽에서 두 번째)이 어린이 제자 등과 함께 ‘입춘대길’, ‘건양다경’이라 쓴 입춘첩을 붙이고 있다. 논산=뉴스1

 

절기상 입춘(立春)을 맞이한 4일, 서울을 중심으로 눈비가 내리고 기온이 떨어지는 등 겨울 느낌이 더욱 강했지만 사람들은 봄맞이에 나섰다.

 

전국 서당과 향교 및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등의 대문에는 입춘방이 붙었다. 시민들도 ‘입춘대길’ 등이 쓰여진 입춘방을 붙이며 봄맞이에 동참했다.

 

이에 입춘방 혹은 입춘첩이라고도 불리는 글에 사람들의 관심이 쏠렸다.

 

24절기 중 첫 절기인 입춘(立春)은 새해의 봄(春)이 시작(立)된다는 의미다. 입춘에는 한 해의 실질적 시작을 기리며 1년 간 경사가 계속되기를 기원하는 의례를 하는 풍속이 있는데, 입춘방 붙이기도 그 중 하나다.

 

문지방이나 벽 등에도 하지만 대개 문앞에 붙이는 글을 ‘입춘방’(立春榜) 혹은 ‘입춘첩’(立春帖)이라 한다.

 

입춘방 문구로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입춘대길’(立春大吉)과 ‘건양다경’(建陽多慶)이다. 입춘대길은 ‘봄이 오니 운이 매우 좋음’이라는 뜻이고, 건양다경은 ‘따스한 기운에 경사가 많다’는 뜻이다.

 

보통 입춘대길과 건양다경을 대문에 함께 붙인다. “봄이 오니 좋은 운이따르고 따스한 기운에 경사스러운 일이 많을 것”이라는 뜻을 나타내며 한 해를 잘 보내기를 기원하는 것이다.

 

김명일 온라인 뉴스 기자 terry@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채수빈 '완벽한 미모'
  • 채수빈 '완벽한 미모'
  • 이은지 ‘밥값은 해야지!’
  • 차주영 '완벽한 비율'
  • 샤오팅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