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노 다로(河野太郞) 일본 방위상이 10일 해상자위대 호위함과 초계기의 중동 해역 파병 명령을 내린다고 교도통신이 관계자를 인용해 9일 보도했다.
일본 정부가 지난달 각료 회의에서 호위함 1척과 P-3C 초계기 2척, 총 260명 규모의 해상자위대 독자 파병 결정 후 최근 미국과 이란의 긴장이 고조하자 예정대로 파병을 강행할지가 주목되고 있는 상황이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이와 관련해 이란의 이라크 내 미군 기지 공격 후 취소했던 11∼15일 중동의 사우디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UAE)·오만 3국 순방 계획을 예정대로 진행하기로 뜻을 굳혔다고 NHK가 보도했다. 일본 내에서는 아베 총리가 안전을 위해 중동 순방을 철회하려면 해상자위대 파병 계획도 취소하라는 비판이 있었다.
일본 정부는 이번 사태와 관련해 이라크 주재 대사관을 임시폐쇄하고 일본 국민의 이라크 출국을 권고했다. 일본의 3대 은행인 미쓰비시 UFG·미쓰이 스미토모·미즈호은행과 도요타 계열 등 일본 기업은 이란 주재 직원에 대해 대피 명령을 내렸다.
미국과 이란의 전면전 위기는 일단 진정됐으나 긴장이 계속되면서 유럽 국가들은 이라크 주둔 병력을 빼내고 있다. 덴마크와 라트비아 정부가 이번에 이란의 공격을 받은 이라크 아인 알아사드 공군기지 등의 파병 병력을 쿠웨이트로 잠시 철수한다고 밝혔다. 스페인군 일부도 쿠웨이트로 철수했다. 앞서 지난 7일 독일과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가 병력을 일시 철수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19개국 3000여명이 주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이라크 내 유럽연합(EU) 회원국 병력은 그동안 극단주의 무장단체인 이슬람국가(IS) 격퇴 및 부활 저지를 위해 현지병력 훈련임무를 수행했다. 유럽의 군부대 철수는 IS 부활을 막자는 명백한 목표에 그림자를 드리울 것으로 보인다고 EU옵서버가 지적한 배경이다.
임국정 기자, 도쿄=김청중 특파원 24hour@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