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운동에 참여한 항일 독립운동가 집안으로 알려진 조국 법무부 장관의 종조부(從祖父·할아버지의 형제)인 조맹규(曺孟奎)씨가 2006년 국가보훈처 서훈 심사에서 탈락했다는 소식이 10일 전해졌다.
지상욱 바른미래당 의원은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조씨의 해방 전후 좌익활동 이력을 언급했다.
지 의원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가보훈처 등의 국감에서 “조 장관의 종조부인 조맹규씨가 서훈 신청을 한 적이 있느냐”고 질의했다.
이에 박삼득 보훈처장은 “2006년도에 한 적 있다”고 답했다.
지 의원은 “조맹규씨는 연합 좌익단체인 민주주의민족전선 출신”이라며 “이 단체의 공동의장은 여운형, 허헌, 박헌영, 백남운, 김원봉이었고, 조맹규라는 분은 중앙위원을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일부 학자들은 핏줄 이념에서는 김원봉과 연결되는 사람이 조국이라는 지적도 한다”며 “서훈 추진도 그런 의미에서 이뤄지는 것이라고 말하는 분들도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조맹규씨는 광복 후 남조선노동당 노동부장을 했는데 이것 때문에 서훈에서 탈락한 것 아니냐”고 물었다.
박 처장은 ”답변 드릴 것이 없다”고 밝혔다.
박 처장은 또 지 의원이 “공적심사위원 명단도 제출해야 한다”고 지적하자 “심사위원 명단이 공개되면 활동에 지장을 줄 수 있다”고 반대했다.

앞서 유튜브 채널 ’황태순TV’는 지난 8월27일 방송에서 정치평론가 황태순씨와 김연광 전 월간조선 편집장은 ”조맹규는 해방 후 남로당 노동부장을 했다는 독자 제보를 받았다”고 입을 모았다.
김 전 편집장은 이 자리에서 “조국이 항일운동, 3.1운동 얘기만 했지, 조맹규라는 사람이 대단한 지위에 있었던 빨갱이라는 사실을 의도적으로 숨긴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황씨는 ‘노동자 책’이란 이름의 전자도서관 사이트를 인용해 조씨의 약력을 소개했는데, 이 사이트에 따르면 조맹규씨는 일제 강점기 당시 경남 창원군 웅동면에서 결성된 웅천(熊川)적색농민조합에 참여했으며, 1932년 4월 일본 경찰에 검거됐다.
이어 1933년 2월 예심이 종결돼 공판에 회부됐다.
또 1934년 10월 진해경찰서에 검거돼 이듬해 1월 검사국으로 송치됐다.
1945년 11월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 상임위원회 문화부장을 맡았으며, 이듬해 2월 민주주의민족전선(민전) 결성대회에 전평 대표의 일원으로 참가하여 중앙위원으로 선출됐고, 남로당 노동부장을 지냈다.
김 전 편집장은 이와 관련해 “민전은 1946년 조선공산당을 중심으로 좌파 계열 정당과 사회단체가 참여해 결성한 연합 단체인데, 이 단체의 공동 의장단이 여운형, 허헌, 박헌영, 김원봉, 백남운 등 5명”이라며 “문재인 정부가 김원봉을 서훈(敍勳)하려고 그렇게 난리를 쳤던 게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조 장관은 2017년 한국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웅동은 선산이 있는 고향으로 종조부(조맹규)께서 웅동학교 교사이기도 했고, 집안 어르신들이 힘을 보태 만든 민족사학이 폐교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요청에 따라 재단을 인수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한편 웅동학원은 1908년 경남 웅천에서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한 계광학교의 후신으로, 아일랜드인 선교사 심익순과 문세균, 배익하, 김창세 등이 설립했다.
1930년 9월 조맹규씨를 비롯한 조원갑과 조정호, 조명진 등 교사들이 항일 격문을 배포한 일로 구속되자 1933년 폐교됐다.
학교는 인근 서당 등에서 명맥을 근근이 이어가다가 해방 후인 1946년 9월 ’웅동 고등공민학교’로 다시 태어났다.
전쟁 중이던 1952년 마침내 현재의 웅동중학교 설립 인가가 났으며, 85년 조 장관의 선친이 웅동학원을 인수하면서 연을 맺었다.
장혜원 온라인 뉴스 기자 hodujang@segye.com
사진=‘황태순TV’, 노동자의 신문 홈페이지 캡처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