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대 암으로 치료를 받은 20대 청년이 최근 5년간 45% 늘어나면서 청년층 건강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광수 의원(민주평화당)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5대 암(위암·간암·유방암·자궁경부암·대장암)으로 진료받은 20대 환자는 2014년 3621명에서 2018년 5234명으로 5년간 증가율이 44.5%에 달했다. 5대 암 전체 환자 증가율 20.2%보다 2배 이상 높고, 10대 (17.6%), 30대(12.9%), 40대(13.7%), 50대(13.6%), 60대(28.2%), 70대 이상(26.1%) 등 연령별 증가율과 비교해도 월등히 높은 수치다.
암종별로 20대 자궁경부암 환자는 2014년 2041명에서 2018년 3370명으로 65.1% 증가했고, 대장암 환자는 같은 기간 30.3% 늘었다.
전체 5대 암 환자(중복 진료 포함)는 2014년 55만5105명에서 2018년 66만6029명으로 20%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5년간 환자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암은 유방암으로 2014년 14만6238명에서 2018년 20만5394명으로 40% 늘었다. 다음으로 간암(16%), 자궁경부암(15%), 대장암(13.7%), 위암(9.4%) 순으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여성 환자 증가율은 5년간 25.8%로 남성증가율 12.0%보다 2.2배 높았다. 김 의원은 “암은 국민 사망원인 1위로 2017년에 인구 10만명당 153.9명이 암으로 사망했다”며 “이 가운데 20대의 암 진료환자가 무려 44.5% 증가해 정부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진경 기자 lji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