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SNS가 지배하는 사회… ‘역사적 사고’ 키워라

입력 : 2019-09-28 03:00:00 수정 : 2019-09-27 19:24:43

인쇄 메일 url 공유 - +

美서 정보 평가·검증능력 측정 설문결과 / 젊은층 절반 이상이 가짜뉴스 구별 못해 / 전통적 읽기 방식 역사가들도 결과 유사 / 팩트체커들 실험 시작 2분여만에 가려내 / 정보들 비교하며 읽는 수평적 읽기 주효
사회관계망서비스(SNS)가 지배하는 사회에서는 정보를 찾는 게 핵심이 아니다. 가짜를 판별하는 능력이다. 인터넷상에는 엄청난 양의 정보로 넘쳐난다. 엉터리 디지털 잡상인들은 검색자들의 충성을 얻기 위해 신뢰할 수 있는 자료들과 경쟁한다. 이들을 구별할 수 있을까? 최근 미국에서 실시된 전국적 설문조사는 구별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미국에서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정보를 평가·검증하는 시민 온라인 추론(online civic reasoning) 능력을 측정하는 설문조사가 있었다. 각 단계의 분석 결과는 놀랄 만큼 일관되었다. 젊은층의 인터넷 정보 판단능력은 한마디로 암담했다. 조사 대상 가운데 절반 이상이 광고성 기사와 실제 기사를 구별하지 못했고, 가짜 뉴스가 검증된 뉴스보다 더 믿을 만하다는 답변이 적지 않았다.

미국 노스웨스턴대학에서 학생들이 검색하는 과정을 살피는 실험을 했다. 그들은 모두 구글에 의존했고, 구글 검색창에 나오는 순서대로 신뢰도를 결정했다. 어느 누구도 웹사이트나 정보 생산자의 정보나 신뢰도에 신경 쓰지 않았다.

여러 나라의 비슷한 실험에서도 결과는 비슷했다. 그들은 디지털 원주민, 앱 제너레이션, N세대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디지털기기에 익숙한 세대였다. 그럼에도 그 안의 정보들을 제대로 이해하거나 활용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여실히 보여준다. 저자 샘 와인버그(사진)는 역사가와 팩트체커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해보았다. 인터넷에서 정보를 검색할 때 어떻게 정보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였다.

역사가는 텍스트를 읽고 분석하는 데 익숙하므로 디지털 정보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했다. 그러나 결과는 실망스러웠다. 역사가들은 제시된 웹사이트에만 머물며, 그 외 다른 정보를 찾아보려 하지 않았다. 이미 여러 번의 검증을 거친 학술지나 학술서적을 읽는 데 익숙한 역사가들의 전통적 읽기 방식이 문제였다.

미국 스탠퍼드대 역사교육과 샘 와인버그 교수는 책에서 “규제받지 않는 정보가 넘쳐나는 시대에 거짓과 진실을 가려내는 방법은 선택이 아닌 필수불가결한 일”이라고 강조한다.

반면 팩트체커들은 실험을 시작한 지 2분여 만에 잘못된 웹사이트 정보를 적발해냈다. 제시된 정보에만 의존하지 않고 여러 정보를 비교하며 읽는 ‘수평적 읽기’ 방식으로 짧은 시간 내에 오류를 찾아낸 것이다.

이 실험은 디지털 정보를 읽어내는 방식에 익숙하지 않다면, 거짓이나 왜곡된 정보를 가려낼 수 없음을 보여준다. 디지털 세계는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은 새로운 사고방식과 독해방식을 요구한다. 저자는 “디지털시대에 ‘역사적 사고’는 필수적이지만, 역사적 사고가 디지털시대에 힘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미디어 해석이 접목되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역사교육의 혁신이 필요한 이유가 이것이다.

학생 대부분은 인스타그램에 셀카를 올리고 친구에게 메시지를 보낸다. 왓츠앱과 트위터를 이리저리 돌아다닐 수 있다. 그렇다고 핸드폰 등에서 산출되는 정보를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학생들은 자판을 두드리고 화면을 클릭하는 것 너머에 디지털 세계의 방대한 지식 저장소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다.

학생들이 무엇을 믿어야 할지 결정하는 일은 간단했다. 그들은 구글에 의존했다. 학생들은 구글 검색 목록에 나온 웹사이트 순서를 신뢰도와 동일시했다. 구글의 알고리즘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지 못하는 상태인데도 말이다. 포털 상위에 위치할수록 더 신뢰할 만한 정보라고 인식한다. 특정 링크를 왜 클릭했느냐는 질문에 많은 학생이 어깨를 으쓱하며 말했다. “맨 처음 나온 것이라서요.”

샘 와인버그/정종복·박선경/휴머니스트/1만7000원

역사교육학자인 저자는 디지털시대를 살아갈 ‘역사적 사고’ 능력을 키울 방법을 오랫동안 고민해 왔다. 이 책은 시대의 변화를 따라잡지 못하는 현실을 지적하면서 그 대안을 모색한다. 광고와 뉴스를 구분할 줄 모르는 디지털 원주민, 가짜 웹사이트에 속아 넘어가는 역사가들, 똑같은 문서를 전혀 다르게 해석하는 성직자와 과학자들….

저자는 맥락을 이해하고, 편견을 찾아내고,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역사적 사고’ 능력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규제받지 않는 정보가 넘쳐나는 시대에 거짓과 진실을 가려내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불가결한 과정이다. 저자가 고안한 ‘역사적 사고’ 프로젝트는 현재 미국 여러 주 교육청에서 채택했고, 전 미국 교육표준에서 활용하고 있다.

 

정승욱 선임기자 jswoo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샤오팅 '완벽한 미모'
  • 샤오팅 '완벽한 미모'
  • 이성경 '심쿵'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