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이동귀의상담카페] 인간관계의 어려움

관련이슈 오피니언 최신

입력 : 2019-08-08 20:55:58 수정 : 2019-08-08 20:55:59

인쇄 메일 url 공유 - +

호의를 권리로 아는 사람과 만남 힘들어 / 비난 말고 솔직한 의사 표현하는 게 중요

현대인의 삶에서 스트레스는 떼려야 뗄 수가 없다. 그런데 ‘스트레스는 어디에서 오는 걸까’라는 질문에 항상 빠지지 않는 대답이 있다. 바로 ‘인간관계의 어려움’이다.

시장조사 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의 2018 설문조사에 의하면, 성인 남녀 1000명 중 ‘인간관계로 인한 스트레스가 없다’고 대답한 사람은 10명 중 2명(19.7%)에 불과했다. 마음에 안 드는 사람의 유형도 다양하다. 영악하게 자기 이익만 챙기는 사람, 늘 약속을 어기는 무책임한 사람, 힘 있는 사람에겐 아첨하고 힘없는 사람은 대놓고 무시하는 속물, 늘 남 탓하는 사람 등이다. 특히 ‘호의가 계속되면 권리인 줄 아는 사람들’과의 관계는 어렵다. ‘호구’처럼 계속 이용당한다는 생각에 화가 나기 쉬우니까 말이다. 다른 사람에게 친절하고 거절하는 데 익숙지 않은 사람이라면 더더욱 힘들 것이다.

내 편에서는 어느 정도 무리해서 도움을 주는 것인데 상대의 요구가 점점 많아지다 보면, 어느 순간 참을 수 있는 한계를 넘게 되고 나도 모르게 버럭 화를 낼 수 있다. 그러면 이제껏 참고 노력했던 것은 다 날아가고 인간관계에서 또 한 번 상처받는 상황을 맞게 될 수도 있다.

그러면 어떻게 하면 나의 욕구를 잘 표현하면서도, 상대방과의 관계를 다치지 않게 할 수 있을까. 이를테면, 지난번에 빌려 간 돈도 약속한 기한까지 갚지 않은 상태에서 더 큰 돈을 빌려 달라고 한다. 이런 경우 어떻게 하면 좋을까. 한 친구는 “뭐 또 돈을 빌려 달라고. 야, 인간이 염치 좀 있어라. 지난번에 빌린 돈도 안 갚았으면서 지금 그런 말이 나오니. 빌린 돈이나 갚고 말해”라고 한다. 또 다른 친구는 “지금 나도 여유가 없어 힘들어”라고 실제로는 빌려줄 돈이 있지만 거짓말을 한다.

문제는 전자처럼 이야기를 하면 그 친구가 “야, 너 그까짓 돈 몇 푼 빌려줬다고 생색내는 거야”라고 화를 내고 둘 사이가 경색될 가능성이 크다. ‘공격적인 표현’이 담겼기 때문이다. 상대방을 염치없는 인간으로 평가·비난하게 되면, 상대도 화가 나기 때문에 돈을 빌려주고 말고는 더 이상 중요하지 않고 서로 상처 주는 말을 하기 쉽다. 후자는 어떨까. 곤란한 상황을 빨리 모면하고자 하는 시도이나 별 도움이 안 된다. 그 친구가 “야, 그래도 넌 나보다 월급 많이 받잖아. 그러지 말고 절반이라도 빌려줘”라고 하면서 ‘문간에 발 들여놓기’ 기술이라도 쓰면 결국 반이라도 빌려줘야 할지 모른다. 즉 ‘수동적인 표현’으로 자신의 욕구를 충분히 표현하지 못하고 상대방의 반응에 끌려 다니게 된다.

그렇다면 나의 욕구를 잘 표현하면서도 상대방과의 관계를 망치지 않는 합리적인 반응은 어떤 것일까. 물론 어떤 경우든 모든 상황에 적용되는 정답은 없다. 하지만 ‘사실 지난번에 너한테 돈 빌려주고 나도 꽤 힘들었어. 다시 너에게 돈을 빌려주면 우리 사이가 불편해질까봐 걱정이 돼. 너와의 관계가 나한텐 중요하니까. 어렵게 얘기했는데 들어주지 못해 정말 미안하지만 이번에는 돈을 빌려주기 어려울 것 같아’라고 하면 어떨까.

이렇듯 필자는 자신이 어떤 상황인지 솔직하게 말하고, 어떤 부분이 염려되는지를 전달하면서도 상대를 비난하거나 상황을 단지 모면하려는 수동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동귀 연세대 교수·심리학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신예은 '매력적인 손하트'
  • 김다미 '깜찍한 볼하트'
  • 문채원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