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과 부산, 인천, 대구, 경기 등 전국 11개 지역의 버스 운전사 4만1000명이 파업을 위한 찬반투표에 돌입한다.
그 결과에 따라 오는 15일부터 전국 버스 2만여대가 운행을 중단하는 최악의 사태가 닥칠 수 있다.
8일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전국자동차노조연맹(자동차노련)에 따르면 소속 버스 노조 234곳이 이날부터 10일까지 지역별로 총파업 찬반투표를 진행한다.
서울시 버스노조는 오는 9일 총회를 열고 파업 찬반투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경기의 자동차 노조 15곳은 8~9일 조합원을 대상으로 파업 찬반 여부를 결정하는 투표를 한다.
이와 함께 노조가 지역별 노동청에 신청한 노동쟁의 조정회의 결과에 따라 오는 15일부터 파업에 돌입하게 된다.
최악의 경우 전국 노선 버스 2만대 가량이 운행을 멈출 수도 있다. 이른바 ‘버스 대란’이 현실화되는 것이다.
자동차노련 소속 전국 버스 사업장 479개 중 234개 노조가 현재 쟁의조정 신청에 참여했다.
버스 차량 기준으로는 2만대, 참여 인원은 4만1000여명에 달한다.
그동안 노선 버스는 사실상 ’무제한 노동’을 할 수 있는 주 52시간제 적용 제외 특례업종이었다.
그러나 지난해 근로기준법 개정에 따라 노동시간 제한 특례업종에서 제외됐고, 1년 간의 유예기간을 거쳐 오는 7월1일부터 본격 적용받게 된다.
법적 노동시간이 줄어들면 버스 운전기사들은 휴식을 보장받을 수 있게 되고, 승객의 안전도 종전보다 개선될 수 있다.
그러나 기사들의 임금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자동차노련은 경기 버스 운전사를 상대로 주 52시간제를 적용하면 근무일수가 3~4일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임금으로는 월 80만∼110만원 줄어든다고 주장한다.
이에 자동차노련은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임금 보전과 인력 충원 등을 요구하며 교섭을 벌여왔지만 타결에 실패해 쟁의조정 신청을 냈다.
버스 회사들은 임금 보전까지 하면서 노동시간 단축에 따른 추가 인력을 채용할 여력이 없다는 입장이다.
자동차노련 측은 사측을 압박하는 동시에 버스 교통 정상화를 위해 중앙정부의 재정 지원도 요구하고 있다.
현재 운행 수준으로 주 52시간제를 안착시키려면 약 1만5700명의 운전사가 더 필요하다는 게 자동차노력 측 주장이다.
이에 버스업계는 상승한 인건비를 감안하면 감당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한윤종 기자 hyj0709@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