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버스노조 총파업 예고…조정 안되면 전국 버스 2만대 멈춘다

입력 : 2019-04-30 00:13:26 수정 : 2019-04-30 00:37:26

인쇄 메일 url 공유 - +

강원 강릉에 본사를 둔 동해상사고속 노동조합이 파업에 들어간 29일 오전 속초와 고성 노선을 운행해온 이 회사의 시내 버스들이 속초·고성 영업소 차고지에 멈춰서 있다. 속초=연합뉴스

 

전국 주요 지역의 버스 운전기사들이 주 52시간 근무 시행에 따른 인력 충원과 임금 보전을 요구하며 다음달 15일 총파업을 예고했다.

 

실제 파업으로 이어진다면 전국 노선 버스 2만여대가 운행을 멈춰 교통 대란이 우려된다.

 

29일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산하 전국자동차노동조합총연맹은 쟁의조정을 신청했다.

 

쟁의조정 신청에는 전국 버스 사업장 479곳 중 234곳이 참여해 비율로 따지면 47%에 달한다. 참여 인원은 4만1280명, 차량은 2만138대이다.

 

자동차노련으로 대표되는 버스 노조는 쟁의조정이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다음달 8일 파업 찬반투표를 거쳐 같은달 15일 총파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이날 서울과 경기, 부산, 인천, 광주 등에서는 노사 최종 협상이 있었으나 근무 형태와 임금보전 문제 등 이견으로 합의는 결렬됐다.

 

버스 노조는 주 52시간 근무제가 적용되면 근무 시간이 줄어들게 돼 그만큼 인력을 충원하지 않으면 버스 운행에 차질이 생길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이에 추가 인력을 채용할 것과 더불어 노동시간 단축에 따른 임금 감소대책을 요구했다.

 

반면 사용자 측은 기사를 대거 채용하면 인건비 부담을 감당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버스 노사는 그간 지역별로 5차례에서 10차례 협상 테이블에 앉았지만 이처럼 견해차를 좁히지 못했다.

 

주 52시간 근무제를 시행하려면 근무 형태부터 정해야 하는데, 노사 입장 차가 워낙 커 협상에 진전이 거의 없었다.

 

버스업계 관계자는 “쟁의조정 기간에 지방자치단체가 노사 협상을 중재한다 해도 큰 진전을 기대하기 어려울 걸로 보인다”며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가 직접 나서지 않는 한 시내 버스의 운행횟수와 노선 감축이 불가피해 시민 불편이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양봉식 기자 yangbs@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미연 '깜찍한 볼하트'
  •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
  • 이즈나 정세비 '빛나는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