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정권 과학계 인사 찍어내기 의혹을 샀던 카이스트(KAIST) 신성철(사진) 총장에 대한 정부의 퇴출 시도가 ‘일단 멈춤’ 모드로 바뀌었다.
카이스트 이사회(이사장 이장무)는 오는 28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리는 262차 정기 이사회에서 신 총장에 대한 총장 직무정지 안건을 상정하지않겠다고 25일 결정했다.
카이스트 이사회는 지난해 12월 14일 열린 제261차 정기이사회에서 과기정통부가 요구한 신 총장 직무정지안을 상정했다가 이사들간의 이견으로 결정을 유보하고 차기 이사회에서 다시 논의하기로 했었다.
신 총장과 카이스트는 과기정통부와의 불편한 관계를 해소하고 총장의 정상적인 업무수행을 위해 이번 이사회에 안건 상정을 원했지만 정부가 이를 보류키로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경북과기원(DIGIST) 총장시절 국가연구비를 빼돌리고 제자를 편법채용했다며 신 총장을 서둘러 검찰에 고발하고 직무정지 처분에 나섰던 것과 비교하면 정부 스스로 꼬리를 내린 셈이다.
신 총장은 대구지검에 고발됐지만 넉달이 지나도록 아직 피의자 조사조차 받지 않고있다.
한 학교 관계자는 “정부의 직무정지 시도로 국내 최고의 이공계 대학을 이끄는 막중한 업무가 여러모로 차질을 빚고있다”면서 “신 총장이나 학교측은 가능한 빨리 이사회를 통해 속시원히 이 문제를 털고가려했으나 직무정지를 서둘던 정부가 오히려 안건 상정을 미뤄 당황스럽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자체 감사결과를 토대로 지난해 11월 30일 신 총장이 디지스트 총장 재임 당시 미국 로런스버클리국립연구소(LBNL)에 국가연구비를 빼돌리고 제자를 편법채용했다며 검찰에 고발하고, 이사회에 총장 직무정지를 요구했다.
그러나 카이스트 교수단과 동문, 바른과학기술사회실현을 위한 국민연합 등 과학기술단체들이 “감사결과에 대한 소명 기회도 주지않고 직무를 정지하려는 것은 과학계에 대한 인격살인”이라며 철회를 촉구하고 나서 파문을 일으켰다. 저명 국제학술지 네이처도 이례적으로 “신 총장 사태에 대해 한국 과학자들이 ‘정치적 숙청’이라고 비판한다”고 동향을 보도해 국제적 망신을 샀다.
대전=임정재 기자 jjim61@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