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어트엔 美 대통령 리무진 등장…'김정은 숙소 유력' 멜리아도 보안 강화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리는 2차 북미정상회담이 나흘 앞으로 다가오면서 양 정상의 숙소와 회담장이 가시권에 들어오고 있다.
![]() |
제2차 북미정상회담을 나흘 앞둔 23일(현지시간) 김창선 북한 국무위원회 부장(붉은색 동그라미)과 김철규 호위사령부 부사령관(푸른색 동그라미)이 정상회담장으로 거론되는 베트남 하노이 소피텔 레전드 메트로폴 하노이에서 동선을 점검하고 있다. |
김 위원장의 '비서실장'격인 김창선 국무위원회 부장은 23일 오후 4시께(현지시간) 경호 담당 김철규 호위사령부 부사령관, 박철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아태평화위) 부위원장 등 의전팀과 함께 메트로폴 호텔을 방문해 약 1시간 40분 동안 호텔 안팎을 집중 점검했다.
김 부사령관 등 일부 북한 인사들이 호텔 내부의 '컨퍼런스&비즈니스 센터' 시설에 들어가는가 하면, 김 부사령관이 호텔 로비에서 손가락으로 호텔 곳곳을 가리키며 동선을 점검하는 듯한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특히 미국 측 관계자로 보이는 인물 1명이 김 부장 일행과 함께 상의하는 장면도 눈에 띄었다.
최근 메트로폴 호텔이 김정은 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정상회담장으로 유력하다고 알려진 상황에서 김 부장 일행이 다시 방문, 미측 인사로 보이는 인물과 집중적으로 시설을 체크한 만큼 이는 회담장 시설을 최종 점검하기 위한 것일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다만, 일각에서는 영빈관과 오페라하우스도 여전히 정상회담장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 |
제2차 북미회담을 나흘 앞둔 23일(현지시간) 정상회담 기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숙소로 유력한 베트남 하노이 JW메리어트 호텔에 트럼프 대통령 전용차량인 더 비스트가 주차돼 있다. |
이날 오전 JW메리어트 호텔에는 육중한 외관 때문에 '비스트'(Beast·야수)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미국 대통령 전용 리무진 차량 '캐딜락 원' 두 대가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JW메리어트 호텔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숙소로 일찌감치 거론됐던 호텔인 만큼, 대통령 전용 차량의 도착은 이 호텔이 트럼프 대통령의 숙소로 확정됐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상대적으로 베일에 가려져 있던 김 위원장의 숙소는 정상회담장인 메트로폴 호텔과 북한대사관에서 가까운 멜리아 호텔로 확정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멜리아 호텔의 경우 이날 오후 군인 7∼8명이 호텔 정문과 주변 화단, 분수대 등을 수시로 수색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이 호텔 직원은 이날 취재진에게 "26일은 호텔 전체가 예약이 만료돼 레이트 체크아웃(late check-out)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취재진이 "북미 회담 때문인가"라고 묻자 긴 설명 없이 고개를 끄덕였다.
26일은 김 위원장이 하노이에 입성할 것으로 유력시 되는 날이다.
실제 멜리아 호텔은 북측 고위 인사가 베트남을 방문할 때 흔히 투숙하는 곳이다. 지난해 말 베트남을 공식 방문한 리용호 북한 외무상도 이곳에 짐을 풀었다.
<연합>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