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전주시, 한국전쟁 때 전주형무소 희생자 200여명 유해발굴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18-12-11 13:28:13 수정 : 2018-12-11 13:28:13

인쇄 메일 url 공유 - +

전북 전주시가 한국전쟁 때 무참히 희생된 민간인 2000여명의 유해 발굴에 나선다.

전주시는 1950년 한국전쟁 직후 전주형무소에서 학살된 민간인 유해 발굴 사업을 추진한다고 11일 밝혔다.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에 따르면 당해 7월 남침한 인민군에 의해 서울을 빼앗기자 군과 경찰은 전주형무소에 수감된 민간인 1600여명을 좌익 관련자라는 이유로 학살한 것으로 조사됐다. 당시 전주형무소에는 제주 4·3항쟁과 여순사건 등으로 검거돼 이송된 정치범 등이 다수 수감된 것으로 알려졌다.

재소자들에 대한 학살은 여기에 그치지 않았다. 같은 해 9월 26일과 27일에는 남침한 북한 인민군에 의해 전주형무소 재소자 500여명이 반동분자로 분류돼 무참히 살해됐다. 이 중 300여명의 시신은 가족의 품으로 돌아갔지만, 나머지 시신은 수습되지 못한 채 곳곳에 암매장됐다.

학살된 수감자 중에는 대한민국 건국 초기 지도자급 인사인 손주탁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위원장과 오기열·류준상·최윤호 국회의원 등이 포함됐다.

그동안 인민군에 의해 벌어졌던 집단학살은 정부와 전주시에 의해 진상 파악과 추모행사, 추모비 건립 등이 이뤄진데 비해 군경에 의해 벌어진 대규모 학살은 제대로 규명되지 못했다.

전주형무소 학살사건은 노무현 정부 때 출범한 진실화해위가 2007년 전국에서 벌어진 것으로 추정하는 민간인 학살 매장지 59곳 중 전주형무소 사건을 유해발굴 우선 대상으로 선정했으나, 이명박 정부 들어 진실화해위 활동이 종료돼 발굴에 이르지 못했다.

전주시는 내년 초 유해발굴 추진단을 구성하고 본격적인 발굴 작업에 나설 계획이다. 학살자들의 유력한 유해 매장지로는 황방산 기슭과 전북동 형무소 공동묘지, 산정동 소리개재 등 일대를 꼽고 있다. 특히 소리재개 일대는 전주 국도대체우회도로 ‘용진∼우아’ 구간 공사 현장에 포함돼 있어 조속한 발굴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전주시 관계자는 “유해는 매장 추정지 중 발굴이 용이한 곳부터 진행할 방침”이라며 “발굴한 유해는 무연고자를 위한 세종시 추모의 집에 안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난 7월 전주시의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전주형무소 민간인 학살사건 희생자 유해 발굴을 촉구한 서윤근 의원은 “당시 자행된 집단학살과 암매장은 어떤 법적 근거나 절차도 없이 진행됐다”며 “유해발굴로 고인의 넋을 기리고 아픈 역사의 진실과 화해를 위한 다양한 사업도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주=김동욱 기자 kdw7636@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채수빈 '완벽한 미모'
  • 채수빈 '완벽한 미모'
  • 이은지 ‘밥값은 해야지!’
  • 차주영 '완벽한 비율'
  • 샤오팅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