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썸남 "OO아, 나 할말 있어! 실은 나 너 좋아해"…썸녀 반응은?

입력 : 2018-11-04 10:17:44 수정 : 2018-11-04 10:17:43

인쇄 메일 url 공유 - +

"누가 제 병명 좀 알려주세요"

누군가를 마음에 품지만, 상대방도 막상 자신을 좋아한다니 부담스럽고 싫어지는 이 병.

의외로 젊은이들 사이에서 '이 병'을 앓고 있다고 고백하는 사람이 많다.

이들은 스스로조차도 변덕스러운 마음을 이해할 수 없다고 말한다. 정말로 한순간에 상대방이 싫어진 걸까.

이와 관련 발달심리학자 매리 애인스워드(Mary Dinsmore Ainsworth)가 제시한 영아기에 형성되는 애착에 대한 4가지 유형은 큰 시사점을 준다.

그에 따르면 애착에는 안정적 애착, 불안-회피형, 불안-양가형, 혼동형 애착이 존재한다.

그중에서도 연애할 때 이 같은 증상은 불안-회피형의 케이스와 연결된다.

유아기 당시 불안-회피형의 애착을 가진 아이들은 부모에게 감정표현을 할수록 배척당할 수 있다는 공포를 느낀다.

그 때문에 아이는 버림받지 않기 위해서 일부러 회피형 반응을 보인다.

이들은 성인이 된 후 누군가를 사랑할 때 '자존감' 부족으로 관계에서 도피하는 방식으로 자신을 보호한다.

즉 '왜 나를 좋아하지?'라는 생각에 자신이 열렬히 좋아했던 상대방의 매력이 크게 반감되고 상대방에 대한 신뢰도마저 하락하는 셈이다.

전문가들은 연애 시 자신을 사랑하는 법을 깨우쳐야 진정으로 상대방을 사랑할 수 있다고 조언한다.

뉴스팀 news@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