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올해 1월 네팔 구르자히말 트레킹에 나섰을 때 김창호 대장과 그 대원들. 사진=김창호 제공 |
세계 최단기간 무산소 히말라야 8000m급 14좌 완등에 국내 최초로 성공한 산악인 김창호(49) 대장을 포함한 ‘2018 코리안웨이 구르자히말 원정대’의 등반가 5명의 시신이 13일(현지시간)새벽 베이스 캠프 인근에서 발견됐다.
이날 주네팔 한국대사관은 히말라야 구르자히말 원정 도중 실종된 것으로 알려진 김창호 대장 등 한국인 등반가 5명의 시신을 13일(현지시간) 새벽 베이스캠프 인근에서 발견했다고 밝혔다.
![]() |
김창호 대장. |
사망자는 김창호 대장을 비롯해 이재훈(24·식량·의료 담당), 촬영감독인 임일진(49·다큐멘터리 영화 감독), 유영직(51·장비 담당), 그리고 정준모씨 5명과 이들을 돕던 네팔 현지 등반가 4명 등 총 9명이다.
앞서 대한산악연맹은 "네팔 다울라기리산 구르자히말(해발 7193m) 등반에 나선 김창호 대장을 비롯한 한국인 원정대 5명이 현지시간으로 지난 12일 밤 베이스캠프에서 갑자기 몰아친 눈폭풍에 따른 산사태에 휘말리면서 실종됐다는 연락을 받았다. 생사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연락받지 못했다. 네팔등산협회에서 사고 현지로 구조대를 파견한 것으로 알고 있다"라고 밝혔다.
이어 산악연맹 관계자는 “김창호 대장이 이끄는 ‘2018 코리안웨이 구르자히말 원정대’는 9월 28일부터 구르자히말 남벽 직등 신루트 개척에 나섰다"고 전했다.
최초 원정대 명단에 없었으나 사망했다고 전해진 정준모에 대해서는 "현지에서 합류한 인원인지에 대해선 아직 파악이 되지 않는다"라고 설명했다.
이에 실종으로 예측됐던 김창호 대장 등 한국인 등반가 5명의 생사여부가 이번 시신 발견으로 인해 사망으로 최종 확인됐다.

김창호 대장은 국내 최초로 무산소 히말라야 14좌 완등에 성공한 베테랑 산악인이라 이번 죽음에 대한 네티즌들의 관심이 뜨겁다.
김창호 대장은 2005년 7월 14일 낭가파르바트(8,156m) 등정부터 2013년 5월 20일 에베레스트(8,848m) 등정까지 히말라야 8,000m급 14좌를 완등했다.
특히 국내에서 14좌를 보조 도구 없이 완등한 것은 김창호 대장이 처음이었다. 더불어 7년 10개월 6일 만에 14좌에 모두 올라 폴란드의 예지쿠크즈카가 보유한 최단 기간 완등기록인 7년 11개월 14일 을 1개월 앞당겼다.
김창호 대장은 지난해 네팔 강가푸르나(해발 7,140m) 남벽 신루트를 개척한 공로를 인정받아 한국인으로는 최초로 ‘황금피켈상 심사위원 특별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 |
지난해 10월 네팔 히말라야의 아샤푸르나에 등반중인 김창호 대장과 그 대원들. 사진=노스페이스 |
앞서 네팔 현지 언론과 주요 외신은 지난 12일 밤 네팔 구르자히말산 해발 3500미터에 차려진 베이스캠프에 돌풍이 덮쳤으며, 이날 오전 구조헬기가 바람에 날아간 베이스캠프와 시신을 확인했다고 13일 전했다.
구르자히말은 히말라야 다울라기리 산무리의 봉우리 중 하나다. 높이는 7193m로, 산 남쪽에는 3000m 이상의 대암벽이 있어 등반하기 쉽지 않은 산군으로 꼽혀왔다.
장혜원 온라인 뉴스 기자 hodujang@segye.com
사진=온라인 커뮤니티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